‘여성 장관 30% 시대’가 열렸다. 23일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김영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하면, 문재인 대통령은 장관의 30%를 여성에 할당하겠다는 공약을 지키게 된다. 장관급인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을 포함하면 여성 장관 비율은 31.6%에 이른다. 이것이 공공기관 여성 임원 확대 및 일반 기업의 성 격차 해소로 이어져, 우리 사회의 ‘유리천장’을 깨는 이정표로 기록되길 기대한다.
‘남성 전용’처럼 여겨져온 핵심 부처에 여성 장관들이 포진한 점은 의미가 가볍지 않다. 노동부 장관에 여성이 발탁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에 이어 ‘첫 여성 장관’ 대열에 합류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성평등 의지를 내보인 대목으로 평가할 만하다. 아직도 고위직 여성 임용을 ‘구색 갖추기’로 여기는 공공기관이나 기업들이 많은데, 발상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우리의 성평등 지수는 꺼내기도 민망한 수준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의 지난해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성 격차 지수는 0.649로 조사 대상 144개국 중 116위였다. 유사직종 임금 격차(125위), 관리직 비율(114위), 여성 장관 비율(128위) 항목에서도 최하위를 맴돌았다. 국내 매출 상위 100대 상장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은 2.3%로, 세계 평균(13.8%)의 6분의 1 수준이다.
고용에서 성평등을 실현하는 일은 더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다. ‘여성 장관 30%’가 정부의 성평등 의지를 홍보하는 상징에 그쳐선 안 되는 이유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여성 차별적 고용 관행을 개선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본을 보이는 게 중요하다. 그래야 기업들이 뒤를 이을 것이고 사회 전반의 분위기가 달라질 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100대 국정과제 가운데 ‘실질적 성평등 사회 실현’을 66번째 과제로 설정했는데, 이행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이슈문재인 정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