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2회 현충일 추념식에서는 문재인 대통령 부부 곁에 지뢰 사고를 당한 부상군인들이 자리했다. 평소에는 4부 요인이 함께했지만 이번에는 국가유공자들이 자리한 것이다. 보훈의 위상을 강화하고 국가유공자들을 제대로 예우하겠다는 대통령의 뜻이 반영된 상징적 조처였다. 이날 추념식은 시대 변화에 발맞춰 보훈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김으로써 국민을 한데 아우르는 계기로 삼기에 충분했다.
문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국가를 위해 헌신한 한분 한분이 바로 대한민국이다. 보수와 진보로 나눌 수도 없고, 나누어지지도 않는 그 자체로 온전한 대한민국이다”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베트남 참전 용사, 파독 광부·간호사, 봉제공장 여성노동자, 5·18과 6월항쟁의 민주주의 현장을 지킨 이들, 서해 바다를 지킨 용사 등을 일일이 언급하며 “애국하는 방법은 달랐지만 모두가 애국자”라고 했다. 그는 특히 “전쟁의 경험을 통치의 수단으로 삼았던 이념의 정치, 편가르기 정치를 청산하겠다”고 말했다. 추념사 말미에는 순국선열, 호국영령과 함께 민주열사를 나란히 열거하기도 했다. 결국 진보와 보수, 좌와 우를 넘어 애국하는 모든 이들을 받드는 보훈을 하겠다는 다짐으로 읽힌다.
문 대통령이 국가보훈처를 장관급 기구로 격상해 위상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것도 눈에 띈다. 시대 변화에 걸맞은 적극적인 보훈 의지를 내보인 것이다. 보수 정권들이 보훈을 좁은 의미로 해석해 특정 이념의 전유물인 양 다룬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또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을 하면 3대가 흥한다는 뒤집힌 현실은 여전하다”며 “독립운동가 한 분이라도 더 찾아내 기억하고 기리겠다”고 말했다. 친일의 역사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하고 독립운동가의 후손들이 고통받는 현실을 직시하겠다는 다짐인 셈이다.
문 대통령이 추념사에서 ‘북한’이란 단어를 한 차례도 언급하지 않은 것도 이전과는 다르다.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현충일이면 북한에 대해 강경한 목소리를 내거나 북한을 고리로 국내의 정치적 상황을 연관시키는 발언을 하곤 했다. 문 대통령이 북한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북핵 위기를 둘러싼 유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북한에 대해 신중히 접근하는 한편, 전쟁의 경험을 국내 정치에 끌어들이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슈문재인 정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