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나는 역사다] 한 시대가 끝나던 날 / 김태권

등록 2021-02-18 18:40수정 2021-02-19 02:39

움베르토 에코 (1932~2016)
움베르토 에코 (1932~2016)

움베르토 에코는 어릴 때부터 책을 읽었다. 그런데 그때는 파시스트 독재자 무솔리니가 이탈리아를 다스렸다. 그래서인지 에코는 평생 두 가지 문제에 관심이 많았던 것 같다. 첫째, 파시즘이 되살아나도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하면 어떡하나? 이 걱정을 담은 글이 <장미의 이름>과 ‘프란티에게 바치는 찬사'와 ‘원형파시즘에 대하여'다. 둘째, 사실과 허구를 사람들이 잘 구별하지 않는다는 고민이다. <푸코의 진자>와 <바우돌리노>에서는 사실처럼 보이는 허구의 위력을, 유작인 <제0호>에서는 사실을 허구처럼 보이게 만드는 보수언론의 수법을 다루었다.

때로는 두 문제를 동시에 고민했다. 오래전부터 에코는 <시온장로 프로토콜>이라는 괴문서의 기원을 추적했다. 파시스트 인종주의자들은 이 문서가 진실이라고 믿었지만, 실제로는 옛날 소설을 베껴 날조한 거짓 문서였다. 에코는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 ‘거짓의 힘'과 <프라하의 묘지>를 썼다. 물론 나의 해석일 따름이다. 번역가 이세욱의 지적처럼 “에코의 문학 세계가 풍부하다 보니 사람마다 논점이 다르고 주목하는 바가 다르니” 말이다.

2016년 2월19일은 에코가 세상을 떠난 날이다. 이 일을 생각할 때마다 나는 한 시대가 끝났다는 느낌이 든다. ‘옛 세상이 저물고 이성과 문화가 대접받는 새 세상이 열린다'고 꿈을 꾸던 시절 말이다. <장미의 이름>을 읽을 때만 해도 고전과 현대를 잇고 지식인과 대중을 잇는 이런 작품이 쏟아져 나와, 소설 속 수도원 같은 답답한 옛 세상이 곧 사라지리라고 나는 착각했다. 아니었다. 에코 같은 작가는 자주 나오지 않는다. 지금 와 생각하니,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서 재가 되어 사라지는 쪽은 소설에서처럼 도서관의 고전 책더미일지도 모르겠다.

김태권 만화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그 폭동은 우발이 아니다…법원으로 간 ‘백골단’ 1.

그 폭동은 우발이 아니다…법원으로 간 ‘백골단’

‘보수의 폭력’에 너무 관대한 나라 [박찬수 칼럼] 2.

‘보수의 폭력’에 너무 관대한 나라 [박찬수 칼럼]

“윤석열 파면” 그리고 “모든 노동자에게 노동3권을” [6411의 목소리] 3.

“윤석열 파면” 그리고 “모든 노동자에게 노동3권을” [6411의 목소리]

[사설] 다시 있어선 안될 법원 습격, 배후까지 밝혀 엄벌해야 4.

[사설] 다시 있어선 안될 법원 습격, 배후까지 밝혀 엄벌해야

말채나무: 꽃이 떠나간 겨울정원의 매력 [황금비의 수목원 가드닝 다이어리] 5.

말채나무: 꽃이 떠나간 겨울정원의 매력 [황금비의 수목원 가드닝 다이어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