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조한욱의 서양 사람] 개혁의 의지

등록 2017-05-25 19:05수정 2017-05-25 20:28

조한욱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1955년 11월 소련은 메가톤급의 수소폭탄 실험을 단행했다. 그 핵무기에는 ‘사하로프의 세 번째 생각’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그 폭탄을 설계한 핵물리학자가 안드레이 사하로프였다. 미소 양 대국이 핵무기 개발로 상대적 우위를 점하려 하던 냉전 시대에 그는 ‘사회주의 노동 영웅’의 훈장을 세 차례나 받았던 소련의 국가적 영웅이었다.

재산과 명예를 원했다면 그는 모든 것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그가 택했던 것은 인권운동이었다. 1950년대 말부터 자신의 작업에 개재된 도덕적, 정치적 함의를 서서히 깨닫게 된 그는 핵무기 확산에 반대하는 운동의 길을 갔다. 학술원 회원으로 소비에트 체제가 지지하던 인물을 지목해 “참된 과학자들의 파면과 체포와 죽음에 대해 책임이 있는 자”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한 것을 필두로 그는 미국과 소련이 대륙 간 탄도 미사일을 금지하는 조약에 서명해야 할 것을 촉구하는 등 소련 정부의 심기를 건드리기 시작했다.

소련 정부는 난감한 상황에 부딪혔다. ‘노동 영웅’을 체포할 수도 없거니와, 소련의 핵무기 상황을 가장 잘 아는 과학자를 추방하는 것은 더욱 안 될 노릇이었다. 그들은 사하로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그를 감시했다. 그럼에도 인권운동을 향한 그의 행보에는 거침이 없었다. 그는 모스크바에서 대표적인 반체제 인물이 되었다. 닫힌 법정의 문밖에서 밤을 새워 감시를 하기도 했고, 이백 명이 넘는 양심수의 석방을 위해 탄원서를 썼으며, 민주화의 필요성을 촉구하는 글을 지속적으로 발표했다. 소련에 인권위원회를 창립하여 국제기관과 연대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결국 소련 정부는 탄압에 나섰다. 가택 연금을 시키고 서훈을 취소하며 모든 명성을 박탈했다. 단식투쟁으로 외로운 싸움을 벌일 수밖에 없던 그에게 희소식이 날아들었다. 새롭게 정권을 잡은 고르바초프가 사면령을 내리면서 개혁의 의지를 보여주었던 것이다. 개혁의 의지는 단호해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대통령 거짓말에 놀라지 않는 나라가 됐다 [권태호 칼럼] 1.

대통령 거짓말에 놀라지 않는 나라가 됐다 [권태호 칼럼]

윤 대통령이 내일 답해야 할 것들, 사안별 쟁점 뭔가? [11월6일 뉴스뷰리핑] 2.

윤 대통령이 내일 답해야 할 것들, 사안별 쟁점 뭔가? [11월6일 뉴스뷰리핑]

[사설] “내가 먼저 특검 주장할 것”, 7일 기자회견이 그때다 3.

[사설] “내가 먼저 특검 주장할 것”, 7일 기자회견이 그때다

자영업자들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유레카] 4.

자영업자들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유레카]

[사설] ‘명태균 게이트’ 수사, 이 검찰로는 안 된다 5.

[사설] ‘명태균 게이트’ 수사, 이 검찰로는 안 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