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조한욱의 서양 사람] 내 이름을 달지 말라!

등록 2017-01-05 18:10수정 2017-01-05 20:15

조한욱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누구나 알듯 에베레스트 산이 세상에서 가장 높다. 웨일스 측량사의 이름을 따 그렇게 명명되었음도 웬만하면 알고 있다. 그런데 그 측량사는 스스로를 조지 이브리스트라 불렀으니, 이브리스트 산이라 바꿔야 할까? 어쨌든 그가 그 산을 처음 발견해 그렇게 불릴 것이라는 당연한 추론이 떠오르겠지만 그렇지 않다. 1865년 왕립지리학회에서 그를 기려 산에 이름을 붙이겠다고 결정했을 때 이브리스트는 반대했다. 여기에는 가슴 훈훈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브리스트는 인도 대륙을 측량하기 시작한 윌리엄 램튼 대령의 부관으로 파견되었다가 램튼이 사망한 뒤 임무를 물려받았고, 1830년에는 인도 측량관이 되었다. 남인도에서 네팔에 이르기까지 대략 2400㎞에 달하는 지역에 대한 삼각측량을 램튼이 시작했고 이브리스트가 완성했다. 거의 40년이 소요된 과업이었다. 이브리스트는 은퇴한 뒤 귀국하여 왕립학회 회원이 되었고, 왕립지리학회의 부회장이 되었다.

후임 인도 측량관으로 앤드루 스콧 워가 임명되었다. 그는 아직 측량되지 않은 히말라야 고산 지역에서 이브리스트의 임무를 이어받았다. 전인미답의 고지대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날씨와 몇 달에 걸쳐 악전고투하며 그는 “봉우리 15”를 측량할 수 있었고, 동행했던 네팔의 수학자 라다나트 시크다르가 그것이 주변에서 가장 높으며 아마 세계에서도 가장 높은 봉우리일 것이라고 확인해주었다.

워는 실수가 있을지 몰라 4년이나 확인한 뒤 결과를 발표했고, 거기에 전임자의 이름을 붙이자고 제안했다. 이브리스트는 반대했다. 자신이 그 산을 측량하지도 않았고, 지역 사람들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 스스로의 관례였다는 것이 이유였다. 당시에는 ‘초몰룽마’라는 티베트 명칭도 알지 못했기에, 결국 몇 년 뒤 워의 제안이 산의 명칭으로 확정되었다.

워는 에베레스트 정상에 두 다리를 올린 유일한 인물이 되었다. 한 다리는 산에, 또 하나는 이름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내란을 일으키려다 사형당하다 1.

내란을 일으키려다 사형당하다

[사설] 윤석열·국힘의 헌재 흔들기 가당치 않다 2.

[사설] 윤석열·국힘의 헌재 흔들기 가당치 않다

앞으로도 우린 파쇼와 싸우게 된다 [아침햇발] 3.

앞으로도 우린 파쇼와 싸우게 된다 [아침햇발]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4.

나라야 어찌 되든, 윤석열의 헌재 ‘지연 전략’ [뉴스뷰리핑]

트럼프의 MAGA, 곧 동아시아로 온다 [세계의 창] 5.

트럼프의 MAGA, 곧 동아시아로 온다 [세계의 창]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