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조홍섭의 물바람 숲] ‘나무를 심은 사람들’의 고통

등록 2015-04-08 19:36

장 지오노의 <나무를 심은 사람>은 짧지만 긴 여운을 남기는 이야기다. 원제는 “엘제아르 부피에, 내가 만난 가장 놀라운 사람, 희망을 심고 행복을 거둔 사람”이다. 고독한 양치기 부피에가 버려진 황무지에 40여년 동안 끈질기게 도토리를 심은 끝에 사람이 사는 아름다운 숲으로 만들었다는 줄거리다. 책과 애니메이션으로 세계에 알려진 이 이야기 속 주인공은 실존 인물일까. 지오노는 책 발간 4년 뒤인 1957년 디뉴 시에 보낸 편지에서 “실망시켜 미안하지만 엘제아르 부피에는 가공의 인물입니다”라고 털어놓았다.

지오노의 이야기가 실제처럼 생생한 것은 세계 곳곳에 나무 심는 데 삶의 전부를 던진 사람들이 여럿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임종국(1915~1987)과 민병갈(1921~2002) 선생은 한국판 ‘나무를 심은 사람’이라 할 만하다.

임종국 선생은 배고프던 1950년대부터 20여년 동안 헐벗은 전남 장성의 산 596㏊에 물지게를 지고 산을 오르내리며 280만그루의 편백나무와 삼나무·낙엽송을 심었다. 그 결실이 오늘날 치유의 숲으로 이름난 축령산휴양림이다.

귀화 미국인 민병갈 선생은 군인으로 우리나라에 왔다 풍광과 인심에 반해 눌러앉은 이다. 1962년 가난한 농민의 딱한 사정을 듣고 덜컥 구입한 천리포의 모래언덕 5000평을 시작으로 확보한 황량한 모래땅 18만평에 나무를 심었다. 일찍이 식물다양성의 가치에 눈뜬 그는 결혼도 하지 않고 모든 수입을 신품종 사들이는 데 썼다.

결국, 천리포수목원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1만3000여종의 식물을 지니게 됐고, 요즘 절정을 맞은 400여종의 목련과 370여종의 호랑가시나무는 세계적인 규모로 꼽힌다. 그는 평생 일군 54만㎡의 땅과 식물을 우리나라에 유산으로 남기고 타계했다.

임종국과 민병갈 선생은 수목장 제도가 도입된 뒤 좋아하던 나무로 오롯이 돌아간 것 말고도 공통점이 있다. 전 재산을 탈탈 털어 나무를 심었지만 마지막에는 심한 재정난을 겪었다는 점이다. 나무를 심고 가꾸는 데는 돈이 많이 든다. 묘목을 사고 인건비를 대야 한다. 목재를 팔거나 관람객을 받아 수익을 내지 않는 한 깨진 독에 물 붓기로 돈을 집어넣어야 한다. 조림은 할아버지가 심어 손자가 거두는 3대에 걸친 사업이다.

임종국 선생은 나무를 담보로 빚을 얻고 논밭과 집까지 팔아 나무를 심었다. 그러나 결국 1979년 자식처럼 기른 숲을 채권자에게 넘긴 뒤 이듬해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2002년에야 산림청은 그 숲을 사들여 ‘고 임종국 조림지’로 이름 붙였다.

천리포수목원도 외환위기 이후 재정난에 시달리다 민 원장이 2002년 세상을 떠나자 새 품종 구입은 물론 직원 월급도 못 줄 정도의 어려움을 겪었다. 마침내 2008년 공익법인으로 출범하고 일반 개방을 결정했다. 지난해 30만명이 찾는 등 수목원은 탐방객에게 인기를 끌면서 재정적 어려움은 해소됐다. 그러나 “나무가 행복한 수목원으로 만들어 달라”는 설립자의 유언은 숙제로 남게 됐다.

유명하진 않아도 평생을 묵묵히 나무와 풀을 심고 숲을 관리해 온 이들도 많다. 이들은 하나같이 식물원이나 숲을 꾸려가기가 힘들다고 호소한다. 부산 기장의 아홉산숲을 400년 동안 9대째 관리해온 산주 문백섭씨는 마침내 올해 초 농업회사법인을 출범시켜 내년부터 일반에 숲을 공개하기로 했다. 더는 땅을 팔고 빚을 내 운영비를 대기 힘들어 내린 결정이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겸 논설위원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겸 논설위원
휴식과 체험학습 공간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민간 식물원들도 재정적으로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특히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대규모 국공립 생태원과 식물원을 잇달아 만들면서 타격을 입고 있다. 노영대 고운식물원 원장은 이를 “구멍가게와 슈퍼를 짓밟고 들어선 대기업 대형마트 같다”고 꼬집었다. 국공립 식물원도 필요하지만 너무나 성급하게 많이 설립하면 어떡하느냐는 것이다. 민간 식물원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멸종위기종을 피난시킨 ‘서식지외 보전기관’일 뿐 아니라 환경교육장이자 복합 웰빙공간이기도 하다. 이런 민간 식물원의 공적 기능을 정부는 모르는 척하는 것 같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겸 논설위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60cm 면도날 철조망’ 세운 경호처…윤석열 오늘은 체포될까 1.

‘60cm 면도날 철조망’ 세운 경호처…윤석열 오늘은 체포될까

윤석열 내란의 세계사적 맥락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2.

윤석열 내란의 세계사적 맥락 [박노자의 한국, 안과 밖]

[사설] 체포영장 거부하면서 구속영장 응한다는 윤의 궤변 3.

[사설] 체포영장 거부하면서 구속영장 응한다는 윤의 궤변

우리는 ‘멍청함’과 싸워야 한다 [왜냐면] 4.

우리는 ‘멍청함’과 싸워야 한다 [왜냐면]

‘대통령 수호대’ 겸직 국회의원 44명 명단 [1월7일 뉴스뷰리핑] 5.

‘대통령 수호대’ 겸직 국회의원 44명 명단 [1월7일 뉴스뷰리핑]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