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조한혜정 칼럼] 사직단은 누가 왜 복원하려는 걸까?

등록 2014-12-16 18:48수정 2014-12-17 14:09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연세대 명예교수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연세대 명예교수
사직단 복원 건으로 전국이 술렁이고 있다. 올해 4월 ‘사직단 복원 촉구 결의안’을 통과시킨 국회의원들은 “역사성과 민족정기 회복을 위하여 일제에 의해 영역이 축소되고 훼손된 사직단의 복원을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국회는 원형을 복원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겠다고 하고, 문화재청은 사직단을 조선 시대 기준으로 돌려놓는 대대적인 복원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 한다. 6차 지방선거에서 사직단 복원 공약이 나오고, 수원 화성에서는 사직단을 복원하고 근처에 한옥타운을 조성한다는 소식도 들린다. 민족주의를 내세운 토건사업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지우기 힘들다.

사직단은 토지신과 곡식신에게 제사를 올리는 곳이었다. 흔히 ‘종묘사직’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여기서 ‘종묘’는 이씨 왕조 조상의 위패를 모신 곳이고 ‘사직’은 농경 신을 모시는 제단을 말한다. 단적으로 종묘는 이씨 왕조의 영원함을 비는 제단이라면 사직단은 농경사회의 경제적 풍요로움, 곧 굶주리는 백성이 없기를 기원하는 제사였다. 격동기를 거치면서도 종묘와 향교, 서원은 전주 이씨와 유생들의 후손에 의해 유지되어온 데 비해 350여개나 있었다는 사직단은 거의 사라졌다는 점이 시사하는 바가 있다. 정말 국회의원들이 역사와 전통을 살려내기 위해 이런 결의를 했다면 시대 공부를 좀더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서울 사직단의 사례를 보면, 그동안 토지신이 백성들을 어떻게 보살폈는지를 어렴풋이 알 수 있다. 1911년 사직단을 인계받은 조선총독부는 제사를 중단하였고 그곳에 정원과 산책로가 있는 사직공원을 개장하였다. 그 공원에 거지와 부랑아들이 몰려들어 구세군이 그곳에서 먹거리를 나누어주었다는 기록이 있고 해방 후에는 고아들을 위한 소년보호소와 서울시립아동병원이 그 터에 세워졌다. 사직단의 본격적인 훼손은 60년대 이후에 일어났는데 사직로 확장과 터널 개통으로 부지가 분할되고 정문을 두 번이나 옮겨야 했다. 60년대에 단군성전과 율곡과 신사임당 동상, 그리고 파라다이스 수영장이 들어섰다. 그 터에는 또한 다양한 배움터가 자리를 잡았는데 1895년 고종의 소학교령에 따라 세워진 매동초등학교가 1933년에 이전해 왔고, 1920년 조선인이 세운 최초의 공공도서관인 경성도서관이 1968년에 옮겨왔으며, 1979년 국내 최초의 어린이도서관인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이 들어서 있다. 특히 어린이 도서관은 몇번의 부침을 거쳤지만 그때마다 시민들, 특히 어머니들의 힘으로 지켜낸 유서 깊은 도서관이다.

이 터에는 이렇게 ‘백성’들의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데 그런 근대 역사의 흔적을 지우고 왕조적 발상으로 사직단을 복원한다는 것은 참으로 무지한 일이다. 중앙집권적 권력을 과시하기 위한 민족주의 부흥의 제단을 복원하기에 앞서, 사직단의 본래의 의미를 생각한다면 식량 위기에 처한 국가를 살리는 대책부터 세워야 하지 않을까? 사실상 지금은 토지신의 제단에 드리는 제사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나라 국민 900만이 보았다는 <인터스텔라>는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으로 농사가 불가능해진 지구의 가까운 미래를 보여주는 영화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곡물자급률 23%로 식량 위기에 매우 취약한 나라에 속한다. 식량주권에는 관심도 없고, 농사짓기에 마음과 몸을 쓴 적이 없는 이들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기 위해 사직단을 복원하겠다는 것은 참으로 어이없는 일 아닌가? 만일 사직단 복원이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 그 복원 사업은 3년이 걸리든 10년이 걸리든 관과 민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역사 공부를 하면서 왜 복원해야 하며 누가 그곳을 돌보고 지켜낼 것인지를 의논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특히 그런 자리는 어린 생명을 키우며 ‘백성’의 안녕을 간절하게 바라는 어머니들이 핵심적으로 참여할 자리일 것이다. 복원이란 과거와 미래를 이을 국민/시민/주민의 뜻을 모아내는 작업이며 이 작업이 선행되지 않는 복원사업은 땅값만 올리는 국고탕진 사업일 것이다.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연세대 명예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부당 지시 왜 따랐냐”…윤석열 ‘유체이탈’ [2월7일 뉴스뷰리핑] 1.

“부당 지시 왜 따랐냐”…윤석열 ‘유체이탈’ [2월7일 뉴스뷰리핑]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리는 ‘양심의 구성’ [강수돌 칼럼] 2.

죽은 자가 산 자를 살리는 ‘양심의 구성’ [강수돌 칼럼]

[사설]“탄핵되면 헌재 부수라”는 인권위원, 그냥 둬야 하나 3.

[사설]“탄핵되면 헌재 부수라”는 인권위원, 그냥 둬야 하나

[사설] ‘모든 책임 지겠다’는 사령관, 내 책임 아니라는 대통령 4.

[사설] ‘모든 책임 지겠다’는 사령관, 내 책임 아니라는 대통령

[사설] 자신 위해 싸우라는 윤석열의 ‘옥중 정치’, 불복 선동하는 것인가 5.

[사설] 자신 위해 싸우라는 윤석열의 ‘옥중 정치’, 불복 선동하는 것인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