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조한욱의 서양사람] 이런 타불라 라사

등록 2014-06-18 18:48

조한욱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
조한욱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
철학사에서는 흔히 인식론을 영국의 경험론과 대륙의 합리론이라는 두 갈래로 구분한다. 그 구분의 근본적인 근거는 인간이 태어날 때 자신의 정신 내부에 직관이나 추리의 능력을 갖고 있는가 아닌가의 여부에 있다. 대륙의 합리론자들은 그 본유관념을 갖고 태어난다고 보는 반면, 경험론자들은 인간 정신이 완전한 백지상태로 태어난다고 주장한다.

존 로크는 <인간 오성론>에서 경험론을 체계적으로 확립시켰다. 그런데 백지상태의 인간 정신을 표현하는 용어로 ‘타불라 라사’라는 말이 흔히 사용된다. ‘빈 서판’이라는 뜻이니 인간이 자라나면서 겪는 경험들이 그 빈 공간에 그림을 그린다는 것이다. 경험론의 인식 과정을 적확하게 상징적으로 표현한 문구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사람들은 로크가 <인간 오성론>에서 그 말을 사용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 책에는 그 문구가 없다. 대륙의 합리론자였던 라이프니츠가 자신의 저서에서 로크를 공박하기 위해 사용했던 것인데, 그것이 오히려 경험론의 이해를 돕는 어휘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라이프니츠가 그 저서의 출판을 포기했기에 그런 오해가 커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경험이 인식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최소한 그 경험들을 구성할 능력이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지 않다면 그 수많은 경험들은 파편적인 잡동사니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에 타불라 라사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다지 신뢰를 보내지 않았다. 그런데 이제는 그 견해를 수정시켜야 할 만큼 명확한 사례를 본 것 같다.

국무총리를 비롯해 결격사유가 한없이 많은 고위 공무원들을 발굴하는 임명권자를 보면서 생긴 인식의 전환이다. 이해 능력은 물론 타인들과의 공감이나 소통의 능력이 전무함을 보면서 “이건 타불라 라사”라고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그 상태를 이순이 넘어서까지 유지하고 있다니 아무래도 철학사는 한국적 관점에서 다시 쓰여야 할 것 같다.

조한욱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내란 청문회’ 증언, 모두 윤석열을 가리킨다 [1월23일 뉴스뷰리핑] 1.

‘내란 청문회’ 증언, 모두 윤석열을 가리킨다 [1월23일 뉴스뷰리핑]

법집행 전면 부정한 ‘폭동’ 배후도 철저히 수사해야 [왜냐면] 2.

법집행 전면 부정한 ‘폭동’ 배후도 철저히 수사해야 [왜냐면]

윤석열, 군·경호처도 검사처럼 무한 복종할 줄 알았나 3.

윤석열, 군·경호처도 검사처럼 무한 복종할 줄 알았나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4.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트랜스젠더 혐오’ 트럼프 속내 [한채윤의 비 온 뒤 무지개] 5.

‘트랜스젠더 혐오’ 트럼프 속내 [한채윤의 비 온 뒤 무지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