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후천개벽 / 백기철

등록 2012-11-28 19:29수정 2012-11-28 19:33

“황톳길에 선연한/ 핏자욱 핏자욱 따라/ 나는 간다 애비야/ 네가 죽었고/ 지금은 검고 해만 타는 곳…”

1970년 발간된 김지하의 첫 시집 <황토>에 실린 ‘황톳길’이란 시의 도입부다. 서슬 퍼런 박정희 독재 시절 ‘애비가 죽어나간 황톳길을 걷는 아들’의 이미지는 매우 투쟁적이다. 이처럼 저항의 상징이었던 김지하가 ‘생명의 시인’이 된 지는 제법 오래다.

김지하의 생명사상은 70년대 중반 인혁당 고문 사실 폭로로 재수감된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쇠창살 틈에 풀씨가 날아와 파랗게 자라는 것을 발견한 날, 웅크린 채 소리 죽여 얼마나 울었던지! 그저 ‘생명’이라는 말 한마디가 내 마음을 파고들었습니다.” 96년에 나왔다가 2003년에 재출간된 <생명학>에서 김지하는 생명사상이 옥중에서 시작됐다고 적었다.

그의 생명사상에서 여성성은 매우 중시된다. 후천개벽은 선천원형(주역의 태극·군자·중국·남성 중심의 코스모스론)을 해체·재구성하여 선·후천이 공존하는 기우뚱한 균형인데, 여성, 여성성, 모성, 사랑과 대지의 생명학이 남성, 남성성, 부성, 도덕과 하늘의 이법(理法) 자리에서 통치하면 으뜸으로 좋다. 새 문화와 문명 창조의 주체는 바로 여성이요, 어머니요, 할머니이다.(<흰 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2005년)

이렇게 보면 김지하가 최근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를 지지하는 강연을 한 것을 이해 못 할 일도 아니다. 그는 강연에서 “이제는 여자에게 현실적인 일을 맡길 때입니다. 나는 여성의 현실통어 능력을 인정합니다”라고 했다.

동서양을 넘나드는 김지하 생명사상의 깊이를 알 길은 없다. 장자 말대로 대붕의 뜻을 어찌 알겠는가. 대문호의 사상을 좌우의 편협한 시각에서 재단할 일도 아니다. 다만 대시인의 발끝에서 작은 이익이라도 취하려 드는 속세의 사람들이 야속할 따름이다.

백기철 논설위원 kcbae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이러다 박근혜 되는 거 아니냐” 걱정하는 20~30대도 많아
박근혜 악수거부 “악랄한 유포”의 진실은…
닷새만에 돌아온 안철수 “향후 행보는 지지자 뜻에 따라”
‘26년’ 본 5·18 생존자들…관객석에선 “쏴!”
어르신들만 서서 가는 KTX 왜?
히딩크 은퇴 선언 “이번 시즌이 마지막”
두 돌 아이의 책상, 할머니의 깊은 뜻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은 왜 이리 구차한가 1.

윤석열은 왜 이리 구차한가

헌재에서 헌법과 국민 우롱한 내란 1·2인자 2.

헌재에서 헌법과 국민 우롱한 내란 1·2인자

‘-장이’와 ‘-쟁이’ [말글살이] 3.

‘-장이’와 ‘-쟁이’ [말글살이]

샘난다, 뉴욕의 갤러리 문화 [크리틱] 4.

샘난다, 뉴욕의 갤러리 문화 [크리틱]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5.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