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병찬 논설위원
곽병찬칼럼
올 들어 개봉된 한국 영화는 <워낭소리>가 유일하다. 침체를 넘어 공황 상태지만, <워낭소리>가 보여준 우리 영화인의 저력은 위안 삼을 만하다. 비탈밭과 천수답을 가꿔 9남매를 기른 80살 농부와 40살 소의 삶과 죽음을 담은 기록물이다. 생명에 대한 지극한 정성과 헌신은, ‘유년의 우리를 위해 고생하신 부모님과 소에게 바친다’는 평범한 헌사마저 눈물샘을 자극했다.
불과 한 세대 전이다. 부모에게 가장 큰 희망은 자식이었고, 재산은 소였다. 가장 듣기 좋은 소리는 “아이들 목으로 밥 넘어가는 소리와 마른논에 물 들어가는 소리”였다. 소는 자식 다음으로 귀했으니 마찬가지다. 그러던 것이 지금 소와 장성한 자식은 우리 시대의 절망을 상징한다.
육우라도 큰 놈 한 마리면 대학 등록금과 1년 하숙비가 너끈했다. 지금 육우 수송아지는 씨받이 값도 안 되는 3만원에 내놔도 가져가질 않는다. 10만원에 수매해 2만원에 주겠다는 지자체도 나왔다. 수송비 2만원은 거저라니, 공짜다. 키워 봤자 사료값도 못 건지니, 나설 이가 별로 없다. 그러나 이보다 더 추락한 것이 청년이다. 고졸 84%가 대학에 진학하니, 청년은 곧 대학생이다. 대학에 들어가기까지 사교육비만 평균 4000여만원, 대학 4년에 등록금 평균 3500여만원이 든다. 요즘엔 취업용 사교육비까지 든다. 그러나 절반 넘는 이들이 졸업 후 제시받는 몸값은 시급 4000원(최저임금) 수준이다.
그마저 준다. 지난 12월 신규 취업자는, 40대 이후는 조금이나마 늘었지만, 20~30대는 20만여명 이상 줄었다. 청년 실업자 35만명, 구직 포기자 15만명, 취업 준비자 60만여명을 합치면 110만명이다. 체감 실업률은 20%에 이른다. 여기에 청년 비정규직 200만여명까지 합치면, 청년의 절반은 불완전고용 상태다. 스물다섯 청년이 비정규직으로 사회에 진출해 10년 동안 비정규직으로 일하면, 주택청약저축도, 자가용도 없고, 결혼도 못하는 3무 인생이 된다고 한다.
그런데도 사회의 시선은 차갑다. 한편에선 대통령부터, 등 따습고 배부른 직장만 찾으니 그렇다고 힐난한다. 다른 쪽에선 사회적 정의감이나 소명감도 없이, 그저 학점과 취업, 가벼운 연애질이나 한다고 핀잔한다. 사실 그들만큼 촛불시위 때 무관심한 세대는 없었다.
그렇다고 그들 탓은 아니다. 그들은 이 사회의 문법에 충실히 따랐다. 기어다닐 때부터 정글에서 살아남는 기술을 연마했다. 소설 시집 한 권 제대로 읽지는 않아도, 토플 점수, 인턴 연수, 봉사활동 등 최고의 취업 조건을 갖췄다. 하지만 사회는 대졸자 중 단 10%에게만 안정된 일자리를 제공한다. 아무리 발버둥쳐도 나머지 90%는 비정규직 혹은 주변부 신세다. 처음엔 비정규직을 피하려 알바를 전전하지만, 오히려 막장 신세를 재촉한다.
그 원인은 효율과 경쟁을 신성시하는 권력과 자본이 제공했다. 주주 이익만 생각하는 주주 자본주의, 산업자본의 금융자본화, 노동시장 유연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와 중소기업의 몰락, 10%를 위한 교육제도, 부실한 직업교육, 공공부문의 위축 등. 엊그제 정부의 실업 대책도 기존의 일자리 유지 차원이지, 2월에 쏟아져 나올 50여만, 겉도는 110여만, 비정규직 200만명 등 청년용은 아니다.
권력과 자본에 선처를 기대해선 안 된다. 최저임금마저 깎으려 하는 게 그들이다. 나머지 90%가 결혼조차 못 해도 눈 하나 깜짝 않는다. 자신을 옭아맨 주술에서 벗어나야 한다. 새봄 농부가 그러하듯, 그들도 제 논과 밭, 그리고 의식을 갈아엎어야 한다. 그래야 제 결실을 거둔다.
곽병찬 논설위원chankb@hani.co.kr
곽병찬 논설위원chankb@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