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10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 묘소 앞에서 시민들이 참배하고 있다.
한겨레21
[표지이야기] 역대정부·대선주자·야권통합 등 여론조사 결과… 32.9% ‘노 전 대통령 평가가 총선·대선에 영향 끼칠 것’, 43% 대선투표 기준 ‘일자리’ 응답
<한겨레21>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2주기를 맞아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 의뢰해 전국의 성인 남녀 800명을 상대로 지난 5월7일부터 이틀간 정치 여론조사를 실시했다(신뢰수준 95%, 오차범위 ±3.5%). 조사는 △역대 정부 평가 순위 △노 전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차기 대선주자 적합도 △야권 단일후보 적합도 등 15개 항목에 걸쳐 이뤄졌다.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역대 정부 평가
응답자의 45.2%가 국정운영이 가장 뛰어난 정부로 박정희 정부를 꼽았다. 2위는 노무현 정부(19.5%), 3위는 김대중 정부(18%)로, 두 정부의 지지도를 더해도 박정희 정부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명박 정부(4.0%)는 전두환 정부(3.3%)와 비슷한 수준이었고, 노태우 정부는 1.3%, 김영삼 정부는 0.9%에 그쳤다.
박정희 정부와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지지층의 특성에서 뚜렷한 대비를 보였다. 박정희 정부는 나이가 많고 학력이 낮을수록,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나이가 적고 학력이 높을수록 지지도가 높았다. 다만 노무현 정부가 20대(27.1%)보다는 30대(31.3%)에서 지지도가 높은 반면, 김대중 정부는 30대(18.2%)보다 20대(37.1%) 지지가 많았다.
20대의 박정희 정부 지지도(23.3%)가 낮은 것은 이들이 박정희 시대를 경험하지 못한 1980년대 이후 세대란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역으로 20대에서 김대중 정부 지지도가 가장 높은 것은 김 전 대통령의 재임 기간이 이 세대의 가치관 형성기(10대 후반~20대 초반)와 겹치고, 이 시기에 외환위기 극복과 노벨평화상 수상 등 가시적 업적이 두드러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노 전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선 잘했다는 평가(64.8%)가 잘못했다는 평가(26.6%)의 두배를 웃돌았다. 긍정 평가는 광주·전라(84.0%)와 강원(70.7%), 부산·경남(66.0%)에서 평균치를 웃돌았고, 부정적 평가는 대구·경북(34.8%), 서울(30.8)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긍정 평가는 학력이 높고 나이가 어릴수록, 부정 평가는 학력이 낮고 나이가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노 전 대통령 퇴임 뒤 평가가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는 응답은 30.6%, 부정적으로 바뀌었다는 응답은 9.3%였다. 절반 이상(54.3%)은 별 변화가 없었다고 답했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2012년 총선과 대선에 영향을 끼칠 것인지에 대해선 그럴 것이란 예상이 32.9%, 그렇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39.5%였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노 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이던 30대(63.0%)와 40대(63.1%)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와 무관하게, 높은 학력 수준과 여러 차례 선거에 참여한 이들 세대의 경험이 정치 현실에 객관적 거리감을 갖게 한 것으로 풀이된다. 차기 대선주자 적합도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1위(41.5%)를 지켰다. 2위는 4·27 재보선에서 ‘날개’를 단 손학규 민주당 대표(12.1%)였다.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5.3%),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3.7%), 오세훈 서울시장(3.7%), 한명숙 전 총리(3.4%)가 뒤를 이었다. 야권의 양대 주자인 손 대표와 유 대표는 지지층의 특성 차이가 뚜렷했다. 연령별로는 손 대표가 20대(11.9%)부터 50대(11.2%)까지 10% 초·중반(30대 13.6%, 40대 15.7%)의 고른 지지도를 보인 반면, 유 대표는 20대(13.4%) 지지율이 두드러졌으나 30대(7.1%), 40대(4.5%), 50대(0.7%)로 갈수록 지지율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직업별 지지도 역시 모든 영역에서 손 대표가 유 대표를 앞섰다. 역대 정부 평가에서 노무현 정부를 1위로 꼽은 응답층(156명)에서도 손 대표(26.7%)는 유 대표(11.7%)를 압도했다. 두 사람의 지지도 차이는 야권 단일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한층 크게 벌어졌다. 손 대표(34.8%)의 지지도는 유 대표(11.7%)의 3배에 육박했다. 야권 통합 방향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국민참여당이 하나의 당으로 합당해야 한다는 ‘민주·진보 단일정당론’(19.9%)과 각자 당을 유지하며 후보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후보단일화론’(20.6%)이 근소한 차이로 경합했다. 단일정당론은 50대(28.9%)와 광주·전라(41.0%)에서 상대적으로 많았고, 후보단일화론은 20대(34.3%)와 부산·경남(29.0%)에서 높게 나왔다. 민주당 지지층(170명)에선 단일정당론(26.8%)과 후보단일화론(22.1%)이 엇비슷하게 나온 반면, 민노당 지지층(35명)에선 후보단일화론(34.9%)이 단일정당론(8.9%)을 압도했다. 고도의 ‘정치적 판단능력’이 요구되는 사안인 까닭에, 응답자의 학력 수준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졌다. 대재 이상(417명)에서는 후보단일화(25.0%)-‘민주당+참여당 합당, 민노당+진보신당 합당’(18.1%)-단일정당(15.2%)-‘민노당+진보신당+참여당 우선 합당’(13.3%) 순으로 지지도가 높았다. 고졸과 중졸 이하는 단일정당-후보단일화-‘민노당+진보신당+참여당 우선 합당’-‘민주당+참여당 합당, 민노당+진보신당 합당’ 순이었다. 대선 투표 기준 2012년 대통령 선거의 투표 기준을 묻는 항목에선 일자리(43%)-복지(26.1%)-교육(12.3%)-남북관계(9.9%)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흥미로운 점은 이 순위가 유독 30대에서만 복지(33.8%)-일자리(30.9%)-교육(23.3%)-남북관계(5.6%)로 바뀐다는 점이다. 노동시장에서 가장 안정된 위치를 확보한 30대의 특성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반면에 심각한 취업난에 시달리는 20대는 일자리(56.9%)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남북관계를 꼽은 응답자 비율이 다른 연령대보다 보수적인 60대 이상(21.6%)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난 점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이 세대 특유의 한국전쟁 체험과 관련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 역대 정부 평가 1순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2012년 총선과 대선에 영향을 끼칠 것인지에 대해선 그럴 것이란 예상이 32.9%, 그렇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39.5%였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노 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이던 30대(63.0%)와 40대(63.1%)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와 무관하게, 높은 학력 수준과 여러 차례 선거에 참여한 이들 세대의 경험이 정치 현실에 객관적 거리감을 갖게 한 것으로 풀이된다. 차기 대선주자 적합도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1위(41.5%)를 지켰다. 2위는 4·27 재보선에서 ‘날개’를 단 손학규 민주당 대표(12.1%)였다.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5.3%),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3.7%), 오세훈 서울시장(3.7%), 한명숙 전 총리(3.4%)가 뒤를 이었다. 야권의 양대 주자인 손 대표와 유 대표는 지지층의 특성 차이가 뚜렷했다. 연령별로는 손 대표가 20대(11.9%)부터 50대(11.2%)까지 10% 초·중반(30대 13.6%, 40대 15.7%)의 고른 지지도를 보인 반면, 유 대표는 20대(13.4%) 지지율이 두드러졌으나 30대(7.1%), 40대(4.5%), 50대(0.7%)로 갈수록 지지율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직업별 지지도 역시 모든 영역에서 손 대표가 유 대표를 앞섰다. 역대 정부 평가에서 노무현 정부를 1위로 꼽은 응답층(156명)에서도 손 대표(26.7%)는 유 대표(11.7%)를 압도했다. 두 사람의 지지도 차이는 야권 단일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한층 크게 벌어졌다. 손 대표(34.8%)의 지지도는 유 대표(11.7%)의 3배에 육박했다. 야권 통합 방향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국민참여당이 하나의 당으로 합당해야 한다는 ‘민주·진보 단일정당론’(19.9%)과 각자 당을 유지하며 후보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후보단일화론’(20.6%)이 근소한 차이로 경합했다. 단일정당론은 50대(28.9%)와 광주·전라(41.0%)에서 상대적으로 많았고, 후보단일화론은 20대(34.3%)와 부산·경남(29.0%)에서 높게 나왔다. 민주당 지지층(170명)에선 단일정당론(26.8%)과 후보단일화론(22.1%)이 엇비슷하게 나온 반면, 민노당 지지층(35명)에선 후보단일화론(34.9%)이 단일정당론(8.9%)을 압도했다. 고도의 ‘정치적 판단능력’이 요구되는 사안인 까닭에, 응답자의 학력 수준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졌다. 대재 이상(417명)에서는 후보단일화(25.0%)-‘민주당+참여당 합당, 민노당+진보신당 합당’(18.1%)-단일정당(15.2%)-‘민노당+진보신당+참여당 우선 합당’(13.3%) 순으로 지지도가 높았다. 고졸과 중졸 이하는 단일정당-후보단일화-‘민노당+진보신당+참여당 우선 합당’-‘민주당+참여당 합당, 민노당+진보신당 합당’ 순이었다. 대선 투표 기준 2012년 대통령 선거의 투표 기준을 묻는 항목에선 일자리(43%)-복지(26.1%)-교육(12.3%)-남북관계(9.9%)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흥미로운 점은 이 순위가 유독 30대에서만 복지(33.8%)-일자리(30.9%)-교육(23.3%)-남북관계(5.6%)로 바뀐다는 점이다. 노동시장에서 가장 안정된 위치를 확보한 30대의 특성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반면에 심각한 취업난에 시달리는 20대는 일자리(56.9%)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남북관계를 꼽은 응답자 비율이 다른 연령대보다 보수적인 60대 이상(21.6%)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난 점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이 세대 특유의 한국전쟁 체험과 관련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