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파견한 ‘한일 정책협의대표단’이 지난 26일 오전 총리 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만나 윤 당선자의 친서를 전달했다. ‘한일 정책협의대표단’ 제공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일본에 보낸 ‘한일 정책협의대표단’ 단장인 정진석 국회 부의장은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배상판결 등 현안에 대해 “고장난명이란 속담이 있듯, 한 손바닥으로 소리를 낼 수 없다는 점을 일본 쪽에 분명히 전달했다”고 밝혔다.
정 부의장은 28일 도쿄의 한 호텔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역사문제에 있어 일본은 우리(한국) 쪽에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하라고 밝혀왔는데,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며 “고장난명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한-일이 용기·지혜·인내를 모아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일본 쪽에 거듭 강조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가) 양국 공식 합의라는 것을 인정한다. 동시에 피해자의 명예를 회복하고, 마음의 상처를 치유한다는 기본 정신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일본 쪽에 이야기했다”고 강조했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배상판결에 따른 ‘현금화’ 절차가 진행 중인 것과 관련해 “일본의 문제 제기가 있었다”면서 “이에 지금의 한-일 관계가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을 방치하지 않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정 부의장은 한국 대표단이 자민당 의원 면담 과정에서 ‘일본 자산의 현금화는 시키지 않겠다’는 강한 의향을 전했다는 일본 언론 보도에 대해 “그런 표현은 쓴 적이 없다”고 말했다.
정 부의장은 한국은 6월1일 지방선거, 일본은 7월10일 참의원 선거 뒤 굵직한 선거 일정이 없다는 점도 거론했다. 그는 “한-일간 대화를 할 수 있는 시간은 충분하다. 이 문제는 서둘러서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며 “이번에 윤 당선자의 한-일 관계 개선의 의지를 충분히 전달했고, 일본이 공감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지난 24일 일본을 방문한 한국 대표단은 일본 정·관·재계 등 인사들을 두루 만났으며 26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면담에서 한-일 관계 개선을 바라는 윤 당선자의 친서를 전달했다. 대표단은 28일 오후 한국으로 귀국한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