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베이징 겨울올림픽에 장관급인 정부 각료 파견을 보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케이신문>은 8일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정부 각료 대신 스포츠청 무로후시 고지 장관(청장)이나 야마시타 야스히로 일본올림픽위원회 회장을 보내는 내용이 부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미국이 정부 대표를 파견하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을 발표”해 “일본도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인권 탄압 등을 근거로 대응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처럼 ‘외교적 보이콧’을 하기는 부담스러운 만큼, 각료보다 격을 낮춘 인사를 보내는 방식으로 최근 국제사회 흐름에 동참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애초 일본 정부는 중국이 지난 7월 도쿄 여름올림픽 개막식에 체육부 장관에 해당하는 거우중원 국가체육총국장을 파견했기 때문에 외교상 답례로 같은 장관급 각료를 보내는 방안이 거론돼 왔다. 하지만 중국의 인권 문제로 미국 등이 움직이면서 자민당에서는 총리나 각료가 참석하는 것은 국제사회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중국쪽의 대응이나 주요 7개국(G7) 동향 등을 살펴 최종 방침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
앞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지난 7일 관저에서 기자들을 만나 베이징올림픽과 관련해 “우리(일본)의 외교적 의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국익의 관점에서 스스로 판단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