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1년 미뤄졌던 2020 도쿄올림픽이 23일 일본 도쿄 신주쿠 국립경기장에서 우여곡절 끝에 막을 올린다. 이번 대회는 코로나를 이유로 불참을 선언한 북한, 기니를 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소속 204개 국가올림픽위원회(NOC) 소속팀과 2016 리우올림픽 때부터 참가하고 있는 난민팀이 출전해 33개 종목에서 금메달 339개 등의 주인을 가린다. 일본에서 여름올림픽이 열리는 것은 1964년 이후 57년 만이다.
전염병으로 인한 초유의 대회 연기부터 끝없는 취소 논란까지 그야말로 예전과는 전혀 다른 전세계 스포츠 축제다. 전례 없는 대회인 만큼, 개막식도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분위기에서 치러진다.
일단 개막식 때 6만8천여명 수용 규모의 국립경기장은 거의 텅텅 비게 된다. 국제올림픽위원회와 일본 정부 등은 이번 대회를 유관중으로 치르기 위해 이달 초까지 검토를 했지만, 도쿄를 중심으로 일본 내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결국 귀빈과 대회 관계자만 참석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역사상 가장 조용한 올림픽 개막식이 예정돼 있다.
개막식의 꽃으로 꼽히는 선수단 입장도 단출해진다. 국제올림픽위원회 등은 선수 입장 인원수에 제한을 두지 않았지만, 각국 선수단이 최소한의 인원만 입장에 참여하는 것을 검토하고 나섰다. 이번 대회 29개 종목 354명의 선수단(선수 232명, 임원 122명)을 보낸 한국도 컨디션 조절과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해 기수인 김연경(여자배구), 황선우(수영)를 비롯한 선수 26명 등 32명 정도만 참석할 방침이다. 한국은 103번째로 입장한다. 개막식 행사 또한 대폭 축소된다. 2011 동일본 지진 및 쓰나미 희생자, 전세계 코로나19 사망자를 추모하는 시간 등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개막식만 ‘조용하게’ 치러지는 것이 아니다. 전체 일정의 96% 경기가 무관중으로 진행된다. 대부분의 선수들이 가족 응원 등을 받지 못하고 순위를 다퉈야만 한다. 시상식도 침묵 속에 진행된다. 선수들은 마스크를 쓴 채 참석해 메달도 스스로 목에 걸어야 한다. 기념 촬영을 위한 포옹도, 세리머니 단골 메뉴인 ‘메달 깨물기’도 금지된다. 악수 또한 마찬가지다. 경기를 모두 마친 선수들은 48시간 내 선수촌을 떠나야만 한다. 개인 일정을 끝내면 다른 경기장에서 자국 선수를 응원하는 풍경도 이번 올림픽에서는 볼 수 없을 전망이다.
현재 코로나19 상황이 최악으로 치달으면서 올림픽 중도 취소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마스크와 함께 역사상 가장 기이한 17일간의 스포츠 열전(8월8일 폐막식)이 기다리고 있다.
도쿄/이준희 기자
givenhapp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