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시모토 세이코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 회장(사진 왼쪽),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오른쪽 화면) 등은 21일 오후 온라인으로 회의를 갖고 올림픽 경기 관중 상한선을 정원의 50%, 최대 1만명까지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도쿄/연합뉴스
다음달 23일 개막하는 도쿄올림픽의 일본 내 관중은 최대 1만명까지 허용된다.
일본 정부와 도쿄도,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는 21일 오후 온라인으로 회의를 열어, 올림픽 경기 관중 상한선을 정원의 50%, 최대 1만명으로 결정했다고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이 보도했다. 또 도쿄올림픽은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국외 관중 없이 일본 내 관중으로만 경기를 치르는 것으로 최종 결정됐다.
다만 코로나19 감염 상황에 따라 ‘무관중’ 개최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도쿄 등 7개 지역에서 다음달 12일까지 긴급사태에 준하는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가 적용되고 있는데, 감염 상황이 심각해 해제가 어렵거나 오히려 긴급사태를 선언하게 될 경우 ‘무관중’을 염두하고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시모토 세이코 도쿄올림픽조직위 회장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감염이나 의료 상황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면 신속하게 5자 회의를 열고 대응할 것”이라며 “무관중 개최도 포함해 논의된다”고 말했다. 스가 요시히데 총리도 이날 기자단에게 “안전·안심 올림픽을 위해 ‘무관중’도 불사하겠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경기장 안에서 마스크 착용, 고성 금지, 분산 퇴장 등 철저한 방역 대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감염 가능성이 높은 주류 판매에 대해서는 “검토 중”이라고 열어놨다. 관중 상한선이 결정되는 등 올림픽 개최 준비가 속도를 내고 있지만 여론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아사히신문>이 19~20일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응답자 1469명) 결과를 보면, 도쿄올림픽에 대해 32%가 취소, 30%는 재연기를 해야 한다고 답하는 등 62%가 개최를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최를 하더라도 응답자의 53%는 ‘무관중’ 상태에서 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올림픽 개최로 코로나 확대에 “불안을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도 83%에 달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