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미얀마 양곤에서 대학생들이 반중 시위를 하고 있다. <이라와디> 누리집 갈무리
미얀마 대학생들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미얀마 군사정권을 인정하지 말 것을 호소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 미얀마는 중국과 오랜 우호 관계를 맺어왔으나, 중국이 이번 쿠데타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이자 반중 정서가 크게 확산하고 있다.
15일 <이라와디>와 <미얀마 타임스> 등 현지 매체는 미얀마의 18개 대학 학생회가 지난 11일 시진핑 주석에게 군부 독재를 종식하고 문민정부를 재건하려는 미얀마 국민의 뜻을 인정해 달라는 내용의 공개서한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중국이 좋은 이웃으로서 역할을 하려면, 쿠데타로 권력을 빼앗고, 미얀마 국민의 지도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과 윈 민 대통령 등을 구금한 군사정부를 인정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생들은 또 “중국이 미얀마 군부를 지원하는 것은 중국의 평판에 심각한 손상을 줄 것”이라며 “중국은 미얀마 국민에 대한 존중의 표시로 군부에 협력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미얀마 시민들은 중국이 미얀마 군부의 인터넷 검열·차단 시스템 구축에도 도움을 줬다고 의심하고 있다. 미얀마 주재 중국 대사관은 이런 의혹을 부인하지만, 미얀마 시민들 사이에는 ‘중국이 정보통신 기술자를 항공기에 태워 파견했다’는 등의 소식이 돌고 있다. 이런 의혹은 화웨이 등 중국산 제품의 불매 운동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반중 정서 확산은 중국이 자초한 측면이 크다. 중국은 지난 1일 쿠데타 이후 미얀마 군부에 대한 비난을 자제하고 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미얀마 군부를 비판하는 것을 거부했다. 결국 유엔 안보리는 지난 4일 군부를 직접 비판하는 내용을 뺀 채, 쿠데타 사태에 대한 우려와 아웅산 수치 석방 요구 등을 담은 결의안을 내놨다. 최근 유엔 인권이사회도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미얀마 군부에 자제를 촉구하고 유엔 특별보고관의 조사권 보장을 촉구했던 초안을 수정했다.
미얀마는 1962년 쿠데타로 집권한 네 윈 정부 이후 서방과 사회주의권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는 비동맹 외교 노선을 취해왔다. 1988년 민주화운동을 짓밟고 1990년 재집권한 군사독재 정권은 미국 등 국제사회의 제재·고립 속에 중국에 치우친 외교 노선을 걸어왔지만, 2010년 전후 시작된 군부의 점진적 민주화 조처 이후 미국과의 관계 개선이 본격화됐다. 2015년 아웅산 수치의 집권 이후 미얀마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등거리 외교 노선으로 실리를 취해왔다.
지난 1일 군부 쿠데타 이후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은 미얀마 군부 지도자 등에 대한 제재를 공식화했지만, 중국은 반대의 길을 걷고 있다. 미얀마 시민들은 연일 주미얀마 중국대사관 앞에서 항의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