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클린턴, 트럼프에 두자릿수 우세

등록 2016-06-27 16:25수정 2016-06-27 20:06

경선 마무리 뒤 샌더스 지지자들도 클린턴 지지
트럼프는 잇단 막말로 공화당 지도부·여론 외면
지난 15일 민주당의 사실상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왼쪽)과 지난 13일 공화당의 사실상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의 모습. 클린턴은 <워싱턴 포스트>와 <에이비시>(ABC) 방송이 26일(현지시각)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51%를 얻어 39%에 그친 트럼프를 지난가을 두 언론사의 공동 여론조사 시작 이래 처음으로 두자릿수(12%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AFP 연합뉴스
지난 15일 민주당의 사실상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왼쪽)과 지난 13일 공화당의 사실상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의 모습. 클린턴은 <워싱턴 포스트>와 <에이비시>(ABC) 방송이 26일(현지시각)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51%를 얻어 39%에 그친 트럼프를 지난가을 두 언론사의 공동 여론조사 시작 이래 처음으로 두자릿수(12%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AFP 연합뉴스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은 본격적인 상승세를,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는 하락세를 타기 시작했다.

<워싱턴 포스트>와 <에이비시>(ABC) 방송이 26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클린턴은 51%의 지지율로, 39%에 그친 트럼프를 지난가을 조사 시작 이래 처음으로 두자릿수 차이로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조사에선 클린턴 44%, 트럼프 46%였으나 한달 만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여파는 아직 조사에 반영되지 않았다.

클린턴은 지난 16일 워싱턴 프라이머리(예비선거)를 끝으로 민주당의 대선후보 경선이 마무리되면서 역전의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5월 <워싱턴 포스트>와 <에이비시> 조사에서 버니 샌더스 지지자들 가운데 20%가 트럼프를 지지한다고 응답했으나, 이번 조사에선 8%만 트럼프를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샌더스 지지자 상당수가 이제 클린턴 쪽으로 돌아서면서 클린턴이 힘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트럼프는 공화당 대선후보를 공식 지명하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전당대회(7월18~21일)를 불과 3주 앞두고 큰 고빗사위를 맞았다. 전체 응답자 64%는 ‘트럼프의 대통령 자격이 충분하지 않다’고 답했다. 공화당 지도부와 주류의 반트럼프 전선도 악재다.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인 미치 매코널은 26일 <에이비시> 방송에 출연해 ‘트럼프가 대통령이 될 자격을 갖췄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대신 “사람들에게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있다는 확신을 줘야 하는 부담은 명백히 트럼프가 지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조지 부시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지낸 헨리 폴슨, 국가안보보좌관 출신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리처드 아미티지 전 국무부 부장관 등이 잇따라 민주당 후보인 클린턴 지지를 택했다. 공화당 이론가인 조지 윌은 “그(트럼프)가 반드시 패배하게 하자. 이를 악물고 4년 뒤 백악관을 되찾자”며 이번 선거를 아예 포기한다는 발언과 함께 공화당 탈당까지 선언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속보]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하겠다” 1.

[속보]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하겠다”

‘금’ 쓸어 담은 한국, 11개로 대회 이틀 만에 목표 조기 달성 2.

‘금’ 쓸어 담은 한국, 11개로 대회 이틀 만에 목표 조기 달성

김길리 “제가 넘어져서” 눈물…최민정 “중압감 알기에 안아주기만” 3.

김길리 “제가 넘어져서” 눈물…최민정 “중압감 알기에 안아주기만”

[단독] 납득 못할 ‘경기 도중 도핑검사’ 요구…산악스키 김하나 골절 부상 4.

[단독] 납득 못할 ‘경기 도중 도핑검사’ 요구…산악스키 김하나 골절 부상

[단독] 중국 ‘금’ 린샤오쥔 엉덩이를 툭…밀어주기 반칙 정황 5.

[단독] 중국 ‘금’ 린샤오쥔 엉덩이를 툭…밀어주기 반칙 정황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