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통 큰 지도자” “무능한 권력자” 극과 극 평가

등록 2011-12-19 21:21수정 2011-12-19 22:16

출생부터 사망까지
20살 노동당 입당·33살때 후계자 확정
김일성 사망뒤 ‘선군정치’ 강성대국 도모
핵 억제력 싸고 미국과 벼랑끝 힘겨루기
2차례 남북정상회담 하며 돌파구 모색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2000년 6월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남북정상회담 자리에서 “나를 은둔생활한다고 말하는데…이번에 김 대통령이 찾아오셔서 나를 은둔에서 해방시켜 주셨습니다”라고 말했다. 자신에 대한 압축적 평가이다. 그에게는 언제나 상반된 두 가지 시각과 평가가 존재했다. 아버지의 후광으로 권력에 오른 무능한 2세 혹은 권력의지를 가진 유능하고 냉혹한 권력자, 합리적이고 통 큰 지도자 아니면 즉흥적이고 방탕한 권력자, 북한을 아사 직전의 위기에 빠뜨린 무능한 권력자 아니면 위기의 북한을 ‘고난의 행군’으로 생존시킨 지도자라는 극단적 평가가 엇갈렸다.

그의 출생부터가 논란거리이다. 그는 북한 공식 발표로 1942년 2월16일 김일성 전 주석의 항일무장투쟁 근거지인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났다는 귀틀집은 혁명사적지로 지정됐다. 하지만, 김 위원장의 백두산 출생은 그가 김 전 주석의 항일투쟁을 이어받았다는 정당성을 위해 조작된 것이라는 반론이 남쪽에서는 대세다. 그는 김일성 전 주석이 소련으로 들어간 뒤 그곳에서 태어났다고 주장된다.

해방이 되자 그는 김일성 전 주석이 소련군과 함께 평양으로 입성한 지 2개월여 지난 1945년 11월 생모 김정숙과 항일 빨치산 동료와 함께 소련 함정을 타고 함경북도 웅기항을 통해 북한에 들어왔다. 평양 남산소학교를 졸업하고 만경대 혁명자유자녀학원에 편입했다가 한국전쟁 당시인 1950∼52년 중국 지린학원에서 유학했다. 1960년에는 김일성대 정치경제학과에 입학해 1964년 졸업했다. 대학 2학년 때인 1961년 20살의 나이로 조선노동당에 입당해, 당 조직지도부와 선전선동부 등에서 지도자 수업을 닦는 길로 나섰다.

북한의 공식 출판물들은 당연히 그를 유년 시절부터 극찬한다. 전 과목 우등 등 탁월한 학업성적과 지도력, 다양한 독서와 취미활동 및 봉사활동 등뿐만 아니라 ‘보통 어린이들이 쓰지 않는 복잡하고 미묘한 어감의 말을 잘 사용했다’고 평가한다. 반면 그의 성격이 괴팍하고 즉흥적이고, 능력도 보잘 것 없다는 주장은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 등 망명 인사들이 구체적으로 전한다. 황장엽은 자서전에서 그가 “김정일은 이복형제들과 사이가 안 좋으며, 아내는 김정일의 방탕한 사생활을 나보다 더 잘 알고 있으면서도 김정일을 좋게만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복잡하고 어려운 책은 원래 참을성이 없는데다 탐구력이 부족해서 제대로 읽지도 않았으며 학교성적은 중간쯤이었다”고 폄하한다.

엇갈린 주장과 평가 속에서 공통분모는 있다. 그가 집중력과 몰입력이 높으며, 일단 한 문제에 집중하면 의사결정이 단호하고 파격적이라는 것이다. 어쨌든 그의 이런 자질은 호사가적 기질로 발휘되어, 밤을 새워 일을 한다거나, 문학예술에 대한 재능과 관심을 보여왔다. 사생활도 그의 이런 기질을 키웠을 것으로 보인다. 남동생 ‘슈라’가 익사한 데 이어 7살에 어머니를 여의고, 한국전쟁으로 중국으로 피난살이를 가야했다. 계모 김성애의 손에서 성장했고, 계모와 이복형제와의 권력투쟁설도 있다. 김 위원장은 5살 연상의 성혜림과 동거했고, 성혜림은 모스크바로 망명하기도 했다. 그 이후 고영희·김옥과 동거하는 등 여성 편력과 사생활은 그를 비난하는 대목이지만, 그의 사생활이 그리 행복하지 않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김 위원장을 둘러싼 최대 쟁점은 그의 권력 승계이다. 북한의 <조선전사 년표2>를 보면, 그는 1964~66년 사이에 김 전 주석을 집중적으로 수행해 지도자 수업을 받았고, 1967년부터 69년까지 과도기를 거쳐 1970년대 독자적인 지도활동에 들어갔다고 북한 연구가인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은 분석한다. 또 그가 1974년 2월 조선노동당 5기 8차 전원회의에서 공식후계자로 공식 승인됐다는 것에는 거의 모든 연구자들이 동의한다.

그가 이 과정에서 반김일성 인물들을 적발해 숙청하고, 특히 이복형제와 작은아버지 김영주까지 권력투쟁을 통해 제거했다고 남쪽의 보수적 연구자들은 주장한다. 또 영화 등 예술부문 등 선전부문을 담당해, 김일성 항일투쟁 부각 등 김일성 유일지배체제를 다지는 핵심적 역할을 했다고 한다. 이런 남쪽의 보수적 연구를 원용한다고 해도, 김 위원장이 자신의 지위를 공공히 하며 후계자로 입지를 다지는 능력을 보였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별로 없다. 북한 연구자들은 김 위원장이 후계자로서 권력을 장악한 것은 김일성의 의지, 김정일의 능력, 빨치산 원로들의 추대라는 세가지 힘이 작용했다고 의견을 모은다.

김 위원장은 74년 당대회 이후 주체사상 확립과 김일성 우상화 작업을 주도한 것으로 전해지며, 내치에서도 증산 캠페인과 대중 동원을 이끌며 경제 분야에도 관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1980년 10월 6차 당 대회를 통해 정치국 상무위원, 당 중앙군사위원으로 선출됐고, 1990년 5월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1991년 12월 최고사령관, 1992년 공화국 원수에 추대된 데 이어 1993년 김일성으로부터 국방위원장직을 공식 승계해 권력승계를 마무리했다. 그리고 1994년 7월8일 한반도 핵위기 와중에서 김일성 당시 주석이 사망하면서 ‘위기의 북한’을 걸머지게 됐다.


‘고난의 행군’이라는 이 시기는 북한에 건국 이후 최악이었다. 그는 군부가 중심이 된 ‘선군정치’로 위기 타개에 나섰고, 과감한 대외관계 개선에 나섰다. 1994년 북미기본합의, 김대중 대통령과의 남북정상회담과 6.15공동선언, 2000년 매들린 올브라이트 당시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에 이은 빌 클린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추진과 북미수교 추진 등으로 북한을 개방 일보 직전까지 끌고 갔다. 노무현 대통령과의 10.4남북정상회담,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의 종전선언 추진 등으로 다시 한번 북한의 개방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도모하기도 했다. 그러나, 북한의 개방과 한반도 평화정착은 주변국들의 정권교체에 따른 대북한 정책 변경과 북한의 핵문제로 번번이 좌절됐다. 북한이 끝까지 핵개발을 담보로 잡고 포기하지 않은 것이 주된 원인이기도 하다.

김 위원장은 대외정책도 대결과 화해라는 극단적으로 엇갈리는 두 개의 칼을 들고 북한을 이끌었다. 결국 그는 남쪽의 이명박 정부 이후 남북관계 경색 속에서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외관계가 봉쇄된 채 자신의 지도봉을 내려놓았다. 김 위원장이 북한이 여전히 고립과 봉쇄된 가운데 사망함으로써, 자신과 자신의 업적에 대한 평가는 향후 북한과 그의 후계 체제의 몫으로 남겨지게 됐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김정일 말·말·말

“남쪽에서는 광고하면 잘되는지 모르지만 우리는 실리만 추구하면 된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

“공산주의자도 도덕이 있고 우리는 같은 조선민족.”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해) 참으로 불행하고 유감스런 일로서 솔직히 사과하고 싶다.” -2002년 북일 정상회담

“북한의 생존권을 위해 핵을 포기할 수 없다. (핵 포기 시) 이라크처럼 될까 두렵다.” -2002년 북일 정상회담

“내가 조금만 움직여도 크게 보도들을 하고 있다. 기자가 아니라 작가인 것 같다.” -2007년 남북 정상회담

“우리는 핵무기를 가질 의사가 없다. (김일성 주석의) 유훈이다. 우리는 6자 회담에 아주 성실히 임할 것이다.”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노무현) 대통령께서 오셨는데, 내가 뭐 환자도 아닌데 집에서 뒹굴고 있을 필요 없죠.” -2007년 남북 정상회담

“(김일성) 수령님은 인민들이 흰 쌀밥에 고깃국을 먹으며 비단옷을 입고 기와집에서 살게 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우리는 이 유훈을 관철하지 못하고 있다.” -2010년 1월 <로동신문> 보도

“자주권을 지키기 위해 핵 억제력을 보유하게 됐다.” -지난 10월 러시아 <이타르타스> 통신과의 서면 인터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딥시크가 뭐길래 엔비디아가 대폭락해?…중국 AI 돌풍 1.

딥시크가 뭐길래 엔비디아가 대폭락해?…중국 AI 돌풍

트럼프가 한국 세탁기 언급한 이유…“관세 부과 안 했으면 큰일” 2.

트럼프가 한국 세탁기 언급한 이유…“관세 부과 안 했으면 큰일”

딥시크는 규제를 먹고 자랐다…저가 반도체로 패러다임 전환 3.

딥시크는 규제를 먹고 자랐다…저가 반도체로 패러다임 전환

피땀 흘려 딴 파리올림픽 메달, 땀에 사르르 녹고 있다 4.

피땀 흘려 딴 파리올림픽 메달, 땀에 사르르 녹고 있다

캐나다 총리 후보의 패기…트럼프 관세 위협에 “아픈 곳 보복할 것” 5.

캐나다 총리 후보의 패기…트럼프 관세 위협에 “아픈 곳 보복할 것”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