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중국 권위주의 달라졌다, 더 교묘하게 [항저우VPN]

등록 2023-10-10 16:34수정 2023-10-11 02:36

중국 인민해방군이 9월23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개막식에서 오성홍기를 운반하고 있다. 항저우/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중국 인민해방군이 9월23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개막식에서 오성홍기를 운반하고 있다. 항저우/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항저우와 베이징은 달랐다. 지난해 2월 베이징겨울올림픽을 취재했다. 당시 중국은 제로 코로나였다. 대회는 폐쇄 루프 속에서 열렸다. 경기장-호텔-미디어센터 외에는 갈 수 있는 곳이 없었다. 대회를 두고 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2023년 9월 개막한 항저우아시안게임은 좀 더 유연했다. 자유롭게 시내를 오가며 취재했다. 대회도 별다른 논란 없이 끝났다. 일견 성공적인 대회였다.

중국은 달라진 듯 보였다. 특히 베이징 대회 때 비판받았던 부분을 상당 부분 개선했다. 항저우 곳곳에서 만난 중국인들을 보며 외부 시선과 달리 이곳에도 다양한 생각이 존재한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더욱 악화한 지점도 있었다. 한겨레는 취재기자 1명이 개막식과 폐막식 출입을 금지당했다. 보안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고 했다. 항저우에 온 약 180여명의 한국 취재진 가운데 유일했다. 베이징겨울올림픽 때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언론 탄압, 인터넷 통제 등을 비판했기 때문이라고 짐작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9월23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개막식에 참석하고 있다. 항저우/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9월23일 중국 항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개막식에 참석하고 있다. 항저우/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에 직접 항의했지만 “우리도 이유를 모른다. 누가 결정했는지도 알려줄 수 없다”고 했다. 대회 기간 외신 기자를 만날 때마다 비슷한 사례가 있는지 찾았다. 로이터도 같은 상황이었다. 로이터는 중국 정부와 시진핑 주석에 대해 비판적인 기사를 써온 현지 체류 기자 등이 취재를 제한당했다. 특정 언론사를 넘어 비판적 기사를 쓴 기자 개개인을 추적해 제재를 가했다.

초유의 사태였다. 하지만 아시아올림픽평의회는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없었다. 대한체육회는 제대로 항의조차 하지 못했다. 오히려 중국 쪽 눈치를 보기 급급했다. 일본올림픽위원회도 마찬가지였다. 일본올림픽위원회는 한겨레에 “일본에도 개막식 출입이 제한된 기자가 있지만, 이유는 알려줄 수 없다”고 했다. 한 일본 종합일간지가 문의하니 “경기장 정원 문제”라고 말했다고 한다. 개막식과 폐막식이 열린 주 경기장은 수용인원이 8만명이 넘는다.

국제 스포츠 단체들도 이번 대회에서 중국 눈치를 보기 바빴다. 인공기 문제가 대표적이다. 북한은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징계를 받아 아시안게임에서 국기를 쓸 수 없다. 하지만 곳곳에 인공기가 휘날렸다. 세계도핑방지기구가 문제를 지적했지만, 아시아올림픽평의회는 북한을 두둔했다. 자국민을 학살한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의 개막식 참가를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지켜만 본 장면도 상징적이다.

항저우 대회는 겉보기에 성공적으로 끝났다. 하지만 앞으로 아시안게임의 중국 등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의존은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아시안게임은 2026년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뒤 2030년 카타르 도하, 2034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등 중동에서 잇달아 열린다. 아시안게임 유치를 할 수 있는 아시아 국가가 적은 데다, 개최 의지를 가진 곳도 부족한 탓이다.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폐막식 풍경. 항저우/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 폐막식 풍경. 항저우/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결국 아시아올림픽평의회의 눈치 보기는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다. 취재 제한, 인공기 게양 방치로 허물어지기 시작한 원칙은 앞으로 얼마나 더 훼손될까. 병역 문제로 정상급 선수들이 출전하는 한국과 달리 다른 나라에서는 대회에 대한 관심도 예전 같지 않다. 아시안게임은, 그렇게 항저우에서 저물어가고 있었다.

항저우/이준희 기자 givenhapp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150만명 정도…” 가자 주민 주변국으로 밀어내기 시사 1.

트럼프 “150만명 정도…” 가자 주민 주변국으로 밀어내기 시사

트럼프 취임 직후, 모든 해외 지원·원조 중단했다 2.

트럼프 취임 직후, 모든 해외 지원·원조 중단했다

우크라, 러 정유 공장 또 공격…젤렌스키 “유가 인하가 중요” 3.

우크라, 러 정유 공장 또 공격…젤렌스키 “유가 인하가 중요”

로제, 영국 음악 차트 4주째 2위…레이디 가가와 ‘깜짝 만남’ 4.

로제, 영국 음악 차트 4주째 2위…레이디 가가와 ‘깜짝 만남’

트럼프, 그린란드 놓고 덴마크 총리 거칠게 몰아붙여 5.

트럼프, 그린란드 놓고 덴마크 총리 거칠게 몰아붙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