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대화하고 있다. 프놈펜/연합뉴스
중국 관영언론이 미·중 정상회담 하루 전인 13일 발표된 ‘한·미·일 안보협력’ 관련 공동성명에 대해 “지역 긴장을 높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14일 오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첫 대면 정상회담에서 해당 주제에 대한 기 싸움이 예상된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맞서 한·미·일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한 것에 대해 “미국이 자국의 전략적 목적을 위해 동맹국들을 결속하는 데 박차를 가했지만,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킬 뿐”이라는 전문가 분석을 전했다. 이 매체는 이어 한·미·일 공동성명이 “미국의 이익을 위해 중국과 대치한다는 측면에서 일본과 한국 간 견해차가 커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랴오닝 사회과학원의 한반도 전문가 뤼차오는 <글로벌타임스>에 “미국이 북핵 문제를 빌미로 한·일 군사협력을 진전시켜 (중국에 대항하기 위한) ‘아시아판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계획을 실현하려 한다”며 “중국을 역내에서 견제하기 위한 군사협력을 진전시키는 것이 (미국의) 진정한 의도”라고 말했다. 한·미·일 군사협력이 북한 위협을 이유로 들지만, 궁극적으로는 중국을 타깃으로 한다는 것이다.
3국간 합의지만, 한·일간 입장이 다르다는 평가도 나왔다. 중국국제문제연구소 양시위 선임연구원은 “일본은 ‘중국 견제’라는 미국의 전략 목표에 더 적극적으로 동조하지만 한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것에 더 집중한다”며 “한쪽 편을 드는 문제에 있어, 한국이 훨씬 어렵다. 중국과 경제적으로 협력해야 하고, 북한 문제에서도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14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의 첫 대면 회담에서도 북핵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외교 책사인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2일 캄보디아 프놈펜으로 가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북한은 미국, 한국, 일본뿐 아니라 이 지역 전체의 평화와 안정에 위협이 되고 있다는 시각을 얘기할 것”이라며 “북한이 이런 길을 계속 간다는 것은 이 지역에서 미국의 군사·안보적 주둔 강화를 의미할 뿐”이라는 점을 말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은 북핵 문제에 대해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대화·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을 견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