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 외무장관들이 12일 영국 리버풀 회의장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리버풀/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영국·프랑스·독일·캐나다·이탈리아·일본 등 주요 7개국(G7) 외무장관들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에 대해 “심각한 결과”를 경고하는 공동성명을 냈다. 침공이 이뤄지면 러시아가 공들여 온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인 노르트스트림2의 가동이 어려울 것이란 경고도 쏟아졌다.
7개국 외무장관들과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12일 영국 리버풀에서 만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협에 대해 논의한 뒤 “러시아의 병력 집결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격적 표현에 대한 일치된 비난”을 담은 공동성명을 내놨다. 이들은 러시아에 대해 “상황을 진정시키고, (이견 해소에) 외교적 채널을 이용하며, 군사 행동에 대한 국제적 약속과 투명성을 준수할 것”을 요구했다. 이어, “국제법은 국경에 변경을 가하기 위한 어떤 무력 사용도 금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추가 공격은 심각한 결과와 가혹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엔비시>(NBC) 방송과 인터뷰에서 “우리는 과거에 삼갔던 종류의 조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며 러시아가 침공하면 지난 8월 완공 뒤에도 아직 가동되지 못하고 있는 독일~러시아를 잇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노르트스트림2의 가동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아날레나 베르보크 신임 독일 외무장관도 전날 <체데에프>(ZDF) 방송 인터뷰에서 “상황이 더 악화된다면 가스 파이프라인은 사용을 시작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독일 정부는 노르트스트림2의 운영사가 유럽연합(EU) 역내에 설립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설 가동을 보류시키고 보완을 요구했었다.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16년 집권을 끝낸 사회민주당·녹색당·자유민주당이 함께하는 ‘신호등’ 연립정부가 우크라이나 상황을 파이프라인 가동과 연계시키기 시작한 것이다.
이달 초에도 러시아와 접경한 라트비아에서 29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외무장관들이 만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에 대해 경고한 바 있다. 서구 국가들이 러시아에 맞서 잇따른 ‘외교적 무력시위’를 벌이는 셈이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