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지난해 2월 베이징 중국 외교부에서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미국의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한·일 양국 순방에 대해 중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오는 18~19일 미국 알래스카에서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양국 간 고위급 전략대화를 의식한 탓으로 보인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6일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미-일 ‘2+2 회의’에서 양국이 대중국 대응 전략에 대한 공감대를 이뤘다는 발표와 관련해 “제3국의 이익을 침해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자오 대변인은 “미국과 일본의 교류와 협력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 간 상호 이해와 신뢰를 증진시키고, 단결과 협력을 통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제3국을 겨냥하거나, 제3국의 이익을 침해하는 쪽으로 진행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관영 <글로벌 타임스>도 이날치 사설에서 “미국은 한·일 양국 외교·국방장관과 이른바 ‘2+2 회의’를 하는 것이 동맹 강화를 위해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한다”며 “회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 할수록, 이들 회담이 다가오는 중-미 고위급 전략대화를 위한 준비 회담 성격이란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특히 신문은 “한-중 간 경제협력 규모는 한-미 간 경제협력 규모를 압도하고 있다”며 “한국은 중국 봉쇄를 위한 미국의 전략적 선봉대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 모두 미국이 손에 칼을 쥐여준 뒤 중국을 찌르라고 강요하거나, 미국의 국익을 위해 자국의 국익을 희생하라고 요구하는 것을 바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