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쓰촨성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 모습. 공식 누리집 갈무리
미국의 텍사스주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 결정에 대응해 중국이 쓰촨성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을 폐쇄하기로 했다. 미-중이 외교공관 폐쇄까지 주고받으면서, 양국 갈등이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24일 성명을 내어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 설립과 운영 허가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는 점을 오전에 주중 미국 대사관 쪽에 통보했다”며 “이와 함께 총영사관의 모든 업무와 활동을 중단할 것을 구체적으로 요구했다”고 밝혔다. 1985년 문을 연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은 쓰촨성·윈난성·구이저우성과 티베트자치구, 충칭시 등 중국 서남부권을 관할한다.
앞서 미국 국무부가 지난 21일(현지시각) “미국의 지식재산권과 미국민의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텍사스주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를 결정하자, 중국 쪽은 강력 반발하며 ‘보복 대응’을 예고한 바 있다.
중국 외교부는 성명에서 “중국의 결정은 미국 쪽의 무리한 행위에 대한 정당하고 당연한 대응이며,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 준칙, 외교 관례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미 간 현 국면은 중국이 원하는 상황이 아니며, 모든 책임은 미국한테 있다”며 “미국 쪽이 잘못된 결정을 즉각 철회하고, 양국 관계 정상화에 필요한 여건을 마련해줄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이 중국의 요구대로 조만간 미-중 관계 정상화에 나설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오히려 청두 총영사관 폐쇄 이후 미국이 중국 공관을 추가로 폐쇄하고 중국이 다시 보복하는 등 사태가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앞서 22일 미국 내 중국 공관 추가 폐쇄에 대한 질문을 받고 “언제나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23일 “시진핑 주석은 파산한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의 진정한 신봉자”라며 전세계의 미국 동맹국들과 중국 국민이 중국 공산당의 행동을 바꾸기 위해 미국과 함께 일하자고 도발적인 언사를 이어갔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최현준 기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