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위구르자치구 소수민족 인권 탄압을 이유로 미국의 제재를 받게 된 중국 기업이 50개에 육박하면서, 미-중 탈동조화(디커플링) 현상에 가속이 붙을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신장위구르자치구 소수민족 인권 탄압을 이유로 미국의 제재를 받게 된 중국 기업이 50개에 육박하면서, 미-중 탈동조화(디커플링) 현상에 가속이 붙을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21일 “미 상무부가 위구르족 인권 탄압 관련성을 이유로 추가로 제재 대상에 포함한 11개 중국 기업은 미국 주요 기업과 긴밀히 연계돼 있다”며 “제재 부과에 따라 이들 기업한테서 납품을 받아온 미국 기업도 산업 공급망 재조정에 나설 수밖에 없게 됐다”고 보도했다.
앞서 미 상무부는 20일 위구르족 강제노역과 연관된 창지에스켈섬유 등 9개 기업과 위구르족 탄압을 위한 유전자 분석과 관련된 베이징류허 등 2개 기업 등 모두 11개 중국 기업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신규 지정 기업을 포함해 지난해 10월 이후 같은 이유로 제재 대상이 된 중국 기업은 모두 48개에 이르며, 이들 업체는 미국이 개발한 기술이나 부품에 접근이 차단된다.
신문은 “추가 제재로 인해 당장 납품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물론, 위구르족 인권 탄압과 관련된 업체와 거래하는 것만으로도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을 줄 수 있다”며 “중국 쪽에 공급망을 의지하고 있는 미국 기업의 위험성이 커지면서, 산업 공급망에서 ‘탈중국화’ 현상이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실제 추가 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창지에스켈섬유는 홍콩에 본사를 둔 에스켈의 자회사로 그간 캘빈클라인과 나이키 등에 납품해왔다. 또 난창오필름은 애플 쪽에 아이폰8과 아이폰10(X)용 카메라 부품을 납품하는 업체로, 2017년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가 이 업체 광저우 공장을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
중국 쪽에서도 미국이 제재 대상을 확대하는 건 “중국 기업을 국제적인 산업 공급망에서 배제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관영 <글로벌 타임스>는 21일 “미국은 위구르족 인권유린이란 근거 없는 비난을 이유로 제재를 통해 중국 기업을 산업 공급망에서 배제하려 하고 있다”며 “이는 국제적 차원에서 산업 공급망의 불안정을 야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문은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로 공급망에 혼란이 생기면 비용이 커지면서 미국 기업의 이익도 침해하는 ‘양날의 칼’이 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제재 대상 기업이 미국산 부품과 기술력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기술력을 높이는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