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매디슨/AP 연합뉴스
“핵 비확산 정책과 모순”
미국 백악관이 공화당 대선 경선 선두주자인 도널트 트럼프의 ‘한·일 핵무장 용인’ 발언에 대해 적극적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세계 핵비확산 체계를 공격하는 심각한 발언인데다, 자칫 미국 내에서 이런 담론이 확산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어찌됐든, 백악관은 점점 더 민주당 편에서 미국 대선에 깊이 발을 담그는 모양새가 됐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30일(현지시각) 정례브리핑을 통해 “(일본과 한국이 핵무기를 갖게 될 것이라는) 전망은 (정세를) 극도로 불안정하게 만드는 것”이라면서 “미국의 동맹인 한국이 핵무기를 개발하도록 독려해야 한다는 트럼프의 주장은 미국이 오랫동안 추구해온 정책과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또한 “(트럼프의 주장은) 국제사회가 오래동안 지지해온 (핵 비확산) 정책과도 모순되는 것”이라며 “국제사회가 강하게 지지해온 미국의 정책은 한반도의 비핵화”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정당화하거나 더 촉진할 수 있는 동기를 주는 것이 좋은 아이디어라고 상상하기 어렵다”며 “그것은 말도 안되는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어니스트는 또 “(트럼프의 발언은) 자신의 말과 정책결정의 결과를 이해할 수 있는 군 통수권자가 미국을 이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트럼프가 대통령 자격이 없음을 에둘러 비판했다.
트럼프는 최근 <뉴욕 타임스> 인터뷰에 이어 지난 29일 저녁 미국 위스콘신 주 밀워키에서 진행된 <시엔엔>(CNN) 주최 타운홀 미팅에서도 한국·일본의 핵무장을 용인할 수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31일(현지시각)부터 1일까지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에서 본 의제인 ‘테러 단체들로의 핵물질 확산 차단’보다 트럼프가 더 화제가 될 것이라는 비아냥 섞인 전망이 나온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