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하태경 의원(가운데) 등이 15일 워싱턴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미국 국무부가 2020년 서해상에서 북한군의 총격에 사망한 전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대준씨의 장례식에 조문단을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밝혔다.
‘북한 자유이주민 인권을 위한 국제의원연맹’ 총회 참석을 위해 방미한 하 의원은 15일 워싱턴 특파원 간담회에서 “스콧 버스비 미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 담당 부차관보와 면담 당시 장례식 참석을 요청했고, 부차관보가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그는 누가 조문을 할지는 듣지 못했다고 했다. 이씨 장례식은 22일 열린다.
하 의원은 전날에는 우즈라 제야 국무부 인권 담당 차관을 면담하면서는 2019년 살인 혐의를 받는 북한 어부 2명 북송 사건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하 의원은 미국 국무부도 북송에 강제성이 있는지를 두고 이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유엔군사령부에 당시 상황에 대한 영상 자료도 있다고 했다. 하지만 그는 국무부가 어떤 수준에서 어떻게 조사하고 있다는 것인지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다. 하 의원은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북송 어부들 이름을 공개하기도 했다.
피살 공무원 이씨의 형 이래진씨와 함께 방미한 하 의원은 16일 뉴욕의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를 방문해 이씨 장례식에 북한이 조문단을 보낼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하 의원은 북쪽이 수령을 거부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전달을 시도하겠다고 했다. 그는 “북한 정부에서는 이 사건에 대해 자신들 잘못을 인정했고 충분하진 않지만 사과가 있었기 때문에 우리 입장에서는 진지한 협의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17일에는 일행과 함께 오하이오주 신시내티를 방문해 오토 웜비어의 가족을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대학생이던 웜비어는 북한을 여행하다 구금됐다으며, 2017년 석방된 직후 숨졌다.
함께 방미한 같은 당 황보승희 의원은 “탈북 선원 강제 북송.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은 민주화된 한국에서 있을 수 없는 인권유린”이라며 “이런 사건이 대한민국 영내에서 재발하는 것을 방지할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