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청사. AFP 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인플레이션에 맞서기 위해 지난달에 이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또 밟았다.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27일(현지시각) 이틀간의 회의를 마치면서 연방기금 금리를 기존 1.5~1.75%에서 2.25~2.5%로 0.75%포인트 인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회의에서 28년 만에 단번에 0.75%포인트 올린 데 이어 2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것이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2.25%인 한국 기준금리보다 높아졌다. 2020년 2월 이후 2년 5개월 만의 한-미 기준금리 역전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이사회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노동시장은 매우 빡빡하고 인플레이션은 너무 높다”며 물가의 고삐를 죄기 위한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임을 시사했다. 앞서 나온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9.1%로 40여년 만의 최대 폭을 기록했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후 한때 미국 금융시장에서는 연준이 7월에 기준금리를 1.0%포인트 올리는 ‘울트라 스텝’을 취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다. 그러나 매우 급격한 인상은 시장에 주는 충격이 크고 경기를 경착륙으로 이끌 수도 있다는 지적에 이런 전망은 수그러들었다.
금융시장 등에서는 1980년대 초 이래 가장 매파적인 연준의 통화정책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방공개시장위는 이번 회의 뒤 낸 성명에서 “일자리 증가세가 강력하다”는 등의 경기 판단을 내리며 공격적 통화정책의 필요성을 내비쳤다. 하지만 소비와 생산이 다소 둔화되고 있다는 지표도 있다고 언급했다.
소비자물가 상승에서 큰 몫을 차지해온 에너지 가격 동향도 앞으로 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에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다. 지난달 중순 갤런당 5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던 미국의 보통휘발유 평균가격은 이후 하락세를 거듭해왔다. 따라서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상승폭이 무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파월 의장은 “다음 회의에서 이례적으로 큰 인상이 적절할 수 있다”면서도, 그때까지 지표들을 살펴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 연방공개시장위 회의는 9월 20~21일에 열린다.
파월 의장은 한편으로 “통화정책적 입장이 더욱 엄격해진 만큼, 누적적 정책 조정이 경제와 인플레이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동안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미국 경제의 상태를 침체로 볼 수 없다고 밝혔다.
뉴욕 증시에서는 파월 의장이 9월에 또다시 0.75%포인트 인상을 할 가능성을 열어두기는 했지만 속도 조절론도 제시한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1.37%, 에스앤피(S&P)500지수가 2.62% 올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06%나 뛰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