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가 6일 카카오T 택시 배차 알고리즘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제공
카카오모빌리티 주도로 꾸려진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이하 위원회)가 6일 카카오택시의 배차 알고리즘에 차별 요소는 없다는 자체 조사 결과를 내놨다. 그동안 서울시 등을 중심으로 제기돼온 ‘가맹택시에 배차를 몰아주기 위해 알고리즘을 조작한다’는 의혹과 반대되는 결과이다. 일각에선 카카오모빌리티가 취사 선택해준 알고리즘 데이터로 분석한 ‘반쪽짜리 결과’란 지적이 나온다.
위원회는 6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어 카카오티(T) 택시 배차 알고리즘 소스코드(설계도)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사회적 책임 강화란 명분으로 꾸려 지난 3월 활동을 시작한 자체 기구로, 대한교통학회 추천을 받은 교통분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전문가 5명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월 카카오티가 ‘장거리 승객 골라태우기’를 유도하거나 가맹택시에만 ‘콜 몰아주기’를 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해 알고리즘 조작 논란이 일었다. 공정위는 조사를 벌여, 카카오모빌리티가 80~90%에 달하는 시장 점유율을 남용해 가맹택시에 배차를 몰아주는 방향으로 알고리즘을 조정했다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이 확대되자, 카카오모빌리티는 배차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목표로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를 발족했다. 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로부터 일부 알고리즘을 넘겨 받아 배차 로직, 소스코드와 서버 운영의 일치성, 배차 실적 데이터에 기반한 배차 로직 운영 현황 등을 검증했다.
위원회는 지금까지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직영·가맹 등 택시 영업방식에 따른 차별을 뒷받침하는 로직은 없었다고 판단했다. 배차 로직이 실제 시스템과 일치해, 위원회가 확인한 소스코드대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위원회는 “목적지 정보 표시 없이 자동 배차되는 가맹 기사와 목적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 기사 사이에 배차 수락률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일반 기사의 선택적인 콜 수락으로 생긴 차이”라고 설명했다.
위원회는 승객 호출에 따른 영업 거리(단거리·장거리) 등에 대한 차별 로직 역시 존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콜을 수락할 확률이 높은 기사에게 먼저 콜카드를 발송하는 방식의 콜카드 발송 대비 수락률은 가맹과 일반 기사 사이에 차이가 있었지만, 이는 수익성이 좋은 장거리 호출을 선호하는 일반기사들에게서 발생하는 수락률의 차이라고 덧붙였다.
위원회는 또 택시 영업방식과 무관하게 모든 기사에게 충분한 배차 기회가 제공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배차 순서에서 약 99%의 콜카드가 기사의 과거 운행 행태가 반영되지 않는 방식으로 발송되고 있다는 게 근거였다. 위원회는 “일반 기사의 대기시간당 콜 카드 발송 건수는 100건인 것으로 조사돼, 충분히 많은 기회가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시민단체들은 논란의 당사자가 직접 꾸린 위원회의 신뢰성과 카카오모빌리티가 공개한 알고리즘의 편향성 등을 문제 삼았다. 노동문제연구소 해방의 오민규 연구실장은 “알고리즘 조작 문제를 제기한 서울시와 운수사업자 등을 포함하지 않고, 카카오모빌리티가 꾸린 위원회가 자체 조사한 결과인만큼 신뢰성이 의심된다”며 “가맹 기사는 콜을 거절하지 않으면 자동 배차가 이뤄지는 방식인데 비해 일반기사는 콜을 재빨리 따내야 배차를 받을 수 있는 구조다. 콜 수락률을 기준으로 배차 콜을 주면 가맹과 일반 택시간 차별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번 조사는 이같은 차별 구조를 고려하지 않아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