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IT

네이버웹툰, 분사 5년 만에 이용자 1억8000만명 넘겼다

등록 2022-05-02 11:44수정 2022-05-02 13:08

네이버웹툰. 네이버 제공
네이버웹툰. 네이버 제공

네이버웹툰 월 이용자가 분사 5년 만에 1억8천만명을 넘어섰다. 국내는 물론 미국·일본·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이용자가 크게 늘어난 결과다. 최근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가 국외 진출의 핵심 아이템으로 웹툰·웹소설을 뽑는 등 네이버가 이 부문 비중을 키우는 모습이다.

네이버는 네이버웹툰 월 활성 이용자(MAU) 수가 지난 3월 1억8천만명을 넘어섰다고 2일 밝혔다. 네이버웹툰은 2015년 네이버의 사내독립기업(CIC)으로 설립돼, 2017년 5월 계열사로 분사했다. 국내 서비스인 ‘네이버웹툰’을 비롯해 ‘라인망가’(일본)·‘웹툰’(북미·중남미·유럽)·‘라인웹툰’(동남아) 등 전세계에서 웹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인수한 북미 최대 웹소설 서비스 ‘왓패드’와 일본 서비스 ‘이북재팬’ 등 웹소설 플랫폼도 갖고 있다. 현재 한국어·영어·일본어 등 10개 언어로 웹툰·웹소설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 서비스가 전반적으로 성장하면서 ‘충성 고객’인 활성 이용자 수가 분사 당시 월 4600만명에서 5년 만에 1억8천만명으로 커졌다. 연간 거래액 역시 2017년 2400억여원에서 지난해 1조500억원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양질의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창작자 생태계’를 구축한 게 이 플랫폼의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네이버웹툰은 한국 웹툰 서비스에서 해온 아마추어 작가 발굴 시스템과 공모전 등을 문화권별로 운영해왔다. 현지 언어와 문화에 맞는 콘텐츠를 기르기 위해서였다는 게 네이버웹툰 쪽 설명이다. 현재 네이버웹툰의 모든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창작자는 600만명, 누적 작품 수는 10억편에 달한다. 

네이버는 ‘2026년까지 글로벌 이용자 10억명을 달성한다’는 경영 목표를 위해 웹툰·웹소설 등 콘텐츠 부문에 더욱 힘을 줄 계획이다. 네이버는 이들 서비스가 투자 비용 대비 높은 수익성을 낸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네이버웹툰의 유저 1인당 평균 지출액이 넷플릭스를 능가했다. 웹툰은 ‘구독료’라는 월 상한선이 없다는 점에서 수익성과 성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 역시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네이버웹툰의 플랫폼은 이용자 수 면에서 ‘글로벌 넘버원’ 스토리테크(storytech)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지난 5년의 성장세보다 앞으로의 성장이 훨씬 클 것”이라고 밝혔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 반도체 1분기 ‘적자전환’ 전망…연간 영업익 ‘반토막’ 가능성 1.

삼성 반도체 1분기 ‘적자전환’ 전망…연간 영업익 ‘반토막’ 가능성

“김재규가 쏘지 않았어도 ‘박정희 경제 모델’은 망했을 것” 2.

“김재규가 쏘지 않았어도 ‘박정희 경제 모델’은 망했을 것”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3.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4.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5.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