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심상치 않은 국채금리 오름세

등록 2020-03-22 18:22수정 2020-03-23 02:32

Weconomy | 최석원의 현명한 투자
그래픽_김지야
그래픽_김지야

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극심한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중국 내 확산이 진행될 때만 해도 탄탄했던 글로벌 금융시장은, 유럽과 미국에서 확진자와 사망자 증가 속도가 빨라지기 시작하면서 급속하게 무너지고 있다. 각국 주가지수를 보면 올해 고점 대비 30% 정도 떨어진 게 일반적이고, 40% 이상 떨어진 나라도 나타나고 있다. 12% 정도 떨어진 중국 시장이 오히려 선방하고 있는 모습이다. 단기적인 하락 속도 역시 역사상 제일 빠르다.

문제는 큰 폭으로 떨어져 왔던 각국 국채금리가 최근 오름세로 돌아섰다는 점이다. 특히 각국 중앙은행의 강력한 통화 완화 정책에도 국채금리 상승이 나타나고 있어 우려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두 차례에 걸친 긴급회의에서 정책금리를 0%로 끌어내리고, 지난 16일에는 민간 기업이 발행하는 기업어음을 매수해 주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후 시장금리는 오히려 오르고 있다. 유럽도 초기에는 남유럽 국가의 금리만 올랐지만, 이제 독일 등 주요국 금리도 같이 오르는 중이다. 우리나라도 사상 처음으로 1% 이하로 정책금리를 내렸지만, 국채금리는 오히려 올랐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경제가 나쁘면 시장금리는 내린다. 금리는 결국 돈을 꾸거나 꿔주는 값인데, 경제가 나빠지면 돈을 꾸려는 사람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같은 원리로 통화정책 당국은 경제가 나빠질 때 정책금리를 내린다. 정책금리를 내리면 시장금리도 따라 내려갈 가능성이 높고, 빨리 시장금리가 내려가야 돈을 꾸려는 사람이 늘어나 소비와 투자 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전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 그것도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리고 양적완화까지 실시하는 마당에 시장금리는 왜 오를까? 가장 중요한 원인은 지금의 상황이 안전자산 선호에서 유동성 확보 경쟁으로 넘어갔기 때문이다. 그만큼 이번 사태를 보는 시장의 시각이 더 나빠졌다는 얘기다. 게다가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각국 정부가 엄청난 재정을 쏟아부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도 금리를 끌어 올리고 있다. 정부의 자금 조달 규모가 늘어나며 발행되는 국채가 채권시장에 부담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경우의 금리 상승은 후폭풍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더 문제다. 우리나라에서는 무엇보다 1600조원을 넘어서는 대규모의 가계신용이 큰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자 부담 증가가 가계의 실질소득을 감소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이렇게 되면 가계 주택담보대출 중 일부가 부실해질 가능성이 높다. 주택 가격도 정부가 의도하는 정도의 하락에 그치지 않고 큰 폭으로 떨어져 역자산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자칫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금융기관의 부실화를 통해 시스템 리스크로도 연결될 수 있다.

정부도 이런 상황을 인지하고 지난 19일 채권안정펀드와 중소기업·소상공인들에 대한 자금 지원 등을 포함한 금융시장 안정대책을 내놓았다. 이에 그치지 않고 필요시 언제든 시장 안정에 나설 필요가 있다. 경기침체 우려가 언제든 커질 수 있는 상황이고, 불안이 심해지면 무차별적으로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경쟁이 나타나 금리가 크게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SK증권 리서치센터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1.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IMF “한국 경제 하방 위험”…정책기조 변경해 추경 편성 권고 2.

IMF “한국 경제 하방 위험”…정책기조 변경해 추경 편성 권고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3.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4.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연 9%대 적금 효과’ 청년도약계좌 신청 급증…누적 가입 166만명 5.

‘연 9%대 적금 효과’ 청년도약계좌 신청 급증…누적 가입 166만명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