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금융위원장이 9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융위원회가 시장조성자와 유동성공급자의 공매도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개인 투자자들의 반발을 의식한 움직임이다. 실제로 금지되면 일부 종목의 거래가 어려워지고 가격도 널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시장조성자도 (공매도를) 막아놓으면 투자자 보호라든가 우리 시장 발전에 어떤 의미가 있을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의견을 좀 들어보겠다”며 “다시 한번 고민해보고 어떤 영향이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지난 6일부터 일반 투자자의 공매도를 금지한 데 이어 시장조성자(MM)와 유동성공급자(LP)의 공매도도 도마 위에 오른 것이다.
이는 개인 투자자들의 요구에서 비롯된 움직임이다. 시장조성자와 유동성공급자는 수수료를 받는 대신 거래가 부진한 종목의 매수·매도 주문을 내서 원활한 거래를 돕는다. 이 과정에서 공매도도 빈번하게 이뤄진다. 매수할 때 가격 변동 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해서 공매도를 함께 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6일 공매도 금지 첫날에도 상장지수펀드(ETF) 매도 물량이 쏟아지자 유동성공급자들이 이 물량을 받아주기 위해 매수에 나서면서 해당 기초자산의 공매도를 한 바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이런 공매도가 주가 하락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주장이 사실과 거리가 멀다는 점이다. 이번 사례처럼 매도 물량이 쏟아질 때 시장조성자나 유동성공급자가 이를 받아주지 않으면 거래는 힘들어지고 가격도 떨어질 공산이 크다. 이들의 공매도를 막는 게 개인 투자자의 실익에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시장조성자나 유동성공급자로 지정된 기관이라고 해도 유동성 공급이 아닌 차익 실현을 위해 공매도를 하는 행위는 이미 금지돼 있다.
금융위도 신중한 기류를 내비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시장조성자나 유동성공급자의 경우에 해당 시장에서 유동성을 조정해줘서 나름대로 그 시장을 형성하고 투자자를 보호하는 데 역할을 하고 있다”며 “그런 이유로 과거에도 시장조성자·유동성공급자에 대해서는 공매도 금지를 적용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