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산업 지원 40조 별개로 추가 투입
선사 130여 곳 중 61곳 고용유지지원금
재도약 앞둔 HMM에도 4700억원 지원
선사 130여 곳 중 61곳 고용유지지원금
재도약 앞둔 HMM에도 4700억원 지원
기간산업에 대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항공·해운·자동차 등 기간산업에 40조원을 투입하기로 한 가운데, 해양수산부가 이와 별도로 해운 업종 특성을 고려한 1조2500억원 규모의 추가 금융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지금까지 정부가 공들여 회생시킨 HMM(옛 현대상선)에는 최대 47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해양수산부는 23일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중심으로 전국 해운사에 이같은 내용의 추가 유동성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코로나19 위기 이후 지금까지 해운사에 지원된 3800억원 규모의 자금과 22일 발표된 40조원 중 해운사 지원액, 그리고 이번에 추가로 확보한 1조2500억원의 지원을 더하면 향후 6개월 간 선사들이 겪는 단기 유동성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해수부 해양정책과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아간 곳이 61개사에 430여명 정도 된다”며 “바로바로 타격이 나타나는 항공과 달리 해운은 2~3개월의 시차를 두고 위기가 반영되기 때문에 2분기에 닥칠 경영 상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전국 선사 160여 곳 가운데 실제 영업을 하지 않는 30여곳을 빼고 운항 중인 선사는 130여 곳 정도다.
해운사의 1분기 매출액 감소는 전년 동기 대비 5% 미만으로 타 산업에 견줘 양호한 수준이지만, 코로나 이후 물동량 감소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2분기에는 경영 위기가 본격화 할 것으로 보인다. 해수부 자료에 따르면, 3월 미주권 물동량은 11.1%, 유럽권 물동량은 4.8% 감소했다. 글로벌 해운업 분석기관(알파라이너)들은 적재되지 못한 채 놀고 있는 유휴 선복량이 4월 기준 전 세계 300만TEU(20피트 컨테이너 300만개)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선 해수부는 지난 3월19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100조원+α 민생 금융 안정 패키지’에 포함된 ‘코로나19 회사채 발행 지원 프로그램’(P-CBO)에서 해운사 지원 비중을 최대 2600억원까지 확보하기로 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가 후순위 투자자로 참여해 해운사 채권 비중을 높이는 방식이다. 또한 영세 중소선사에 대해서는 공사가 중소선사의 회사채를 최대 1000억원까지 매입한다. 해수부 해양정책과 관계자는 “기존에 투입하기로 했던 3800억원은 은행 대출 심사를 거치다보니 신용도가 낮은 해운업 특성 상 심사 과정에서 탈락해 지원이 제한적으로 이뤄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는 공사 내부 심의위원회에서 개별 기업에 대한 심사 없이 지원조건만 충족하면 일괄 승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적 해운사 간 인수.합병을 추진할 경우에는 고용 유지 등을 조건으로 최대 1000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이번에는 대표적인 국적 원양선사인 HMM에 대해 만기 도래 선박 금융 상환액 등 최대 4700억원을 신규 지원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주채권기관으로 HMM의 경영을 공동 관리하고 있는 한국해양진흥공사와 한국산업은행이 지원을 맡았다. 해수부 현대상선은 지난 4월1일 HMM으로 사명을 바꿔 달았다.
그밖에 해수부는 선박 세일앤리스백(S&LB, 한국해양진흥공사나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선사로부터 선박을 사 들인 뒤 다시 임대해 원리금을 받는 유동성 지원 방식) 사업 재원을 최대 2000억원 늘리고, 기존 선박에 대한 후순위 투자에 1000억을 투입하기로 했다. 기존에 세일앤리스백을 통해 상환하던 선박 23척의 원리금 288억6000만원은 1년 동안 납부가 유예된다.
김준석 해수부 해운물류국장은 “기존 대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최대한 많은 선사를 지원할 계획이지만, 퍼주기식이 되지 않도록 옥석을 가리겠다. 앞으로도 회사 존립에 문제가 있는 선사가 있다면, 제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논의된 40조원 규모의 기간산업 지원 자금을 통해 추가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