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철강 공급 과잉·수요 부진·값싼 중국산 ‘3중고’…“내년도 캄캄”

등록 2014-07-13 20:20수정 2014-07-23 11:21

국내 철강업계의 실적이 세계적인 철강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 등으로 2011~2012년을 기점으로 크게 떨어지고 있다. 지난 2월 전남 광양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직원들이 조업을 하고 있는 모습. 광양제철소 제공
국내 철강업계의 실적이 세계적인 철강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 등으로 2011~2012년을 기점으로 크게 떨어지고 있다. 지난 2월 전남 광양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직원들이 조업을 하고 있는 모습. 광양제철소 제공
주력 산업이 흔들린다
➊ 출구 안보이는 철강업

외환위기를 견뎌낸 기업들에게는 호시절이 열렸다. 거대 경제권과 잇따른 자유무역협정 체결, 법인세의 지속 인하, 저금리라는 3종셋트가 기업들을 지원했다. 원화가치 약세도 수출기업에 날개를 달아주었다. 그 덕에 기업 수익은 급증했다. 그런 기업들의 실적이 최근 꺾이고 있다. 자동차·전자 정도가 안정적으로 굴러가고 있고, 나머지 대부분의 업종 기업이 가파른 경사의 내리막길을 걷는 모습이다. 한국경제의 앞날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핵심 산업의 흔들리는 현주소를 진단한다.

컬러강판 업계 국내 2위의 동부제철은 지난해 3조3000억원대의 매출을 올렸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고작 214억원에 그쳤다. 금융비용 2374억원의 10분의 1도 감당하지 못할 정도였다. 결국 141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동부제철은 2011년에도 2253억원, 2012년에는 488억원의 적자를 낸 바 있다. 동부제철은 최근 만기가 돌아온 회사채를 자력으로 상환하지 못하고, 결국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어 지원을 받았다.

국내 주요 철강회사 실적은 2011~2012년을 기점으로 크게 떨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철강업계 1, 2위인 포스코와 현대제철도 예외는 아니다. 포스코는 2011년 영업이익 4조3304억원에서 2013년 2조2151억원으로 반토막이 났다. 영업이익률은 11.1%에서 7.8%로 떨어졌다. 올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감소했다. 현대제철도 2011년 1조3067억원이던 영업이익이 2013년엔 7166억원으로 줄었다. 여러 종류의 철강을 생산하는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리스크가 분산돼 사정이 다소 나은 편이다. 후판(배를 만들 때 사용)을 주력으로 하는 동국제강은 조선업 타격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동국제강은 2011년 209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나, 2012년부터 대규모 적자를 내고 있다.

철강업계 불황의 밑바닥에는 세계적인 철강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이란 구조적 악순환이 자리잡고 있다. 원재료 가격이 내려가면서 제품 가격은 동반 하락했다. 국내 건설, 조선 등 철강을 필요로 하는 수요산업 침체는 불황의 그늘을 더욱 짙게 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산 저가·가짜 제품까지 판쳐 철강업계는 ‘3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철강회사 실적 3년전부터 내리막
업계 1·2위 포스코·현대제철마저
지난해 영업이익 ‘반토막’ 신세
‘제품 안파는 게 차라리 나아’ 푸념
설비투자 축소등 생존 안간힘
“수급개선 최소 2~3년 걸릴 듯”

무엇보다 중국발 공급 과잉이 골칫거리다. 세계철강협회 자료를 보면, 2012년 기준으로 세계 철강 수요는 11억1238만톤, 공급은 15억4501만톤이다. 4억톤 넘는 물량이 과잉공급된 것이다. 과잉물량 가운데 2억톤가량이 중국에서 나온다. 반면 철강 수요는 제자리걸음이다. 세계철강협회는 올해 철강 수요가 지난해에 견줘 3.1% 늘어나는 데 그칠 것이라고 내다본다. 금융위기 전 연평균성장률 6%와 견주면 절반 수준이다. 이는 중국의 성장률 둔화로 인한 수요 부진 영향이 크다. 중국은 세계 철강 수요의 50%를 차지한다.

철강 수요산업인 건설·조선의 침체 여파도 작용했다. 업계에선 제품을 파는 것보다 차라리 갖고 있는 게 낫다는 푸념까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저성장, 저마진 상태에 빠졌다. 철강 수급 회복이 안 되니 투자를 해도 시장이 따라오지 않는다. 제품을 팔면서 겨우 영업이익은 나고 있지만 최소 2015년까지는 암흑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저가·편법 수출은 국내 철강업계를 더욱 힘겹게 만들고 있다. 중국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물량이 유통가격을 왜곡하는 것은 물론 우리 수출업체들의 경우 동남아 등 주요 수출지역에서 중국산 저가 철강재와 경쟁해야 한다. 국내로 들어오는 중국산 제품 가운데 일부 철근은 국산으로 둔갑해 유통돼 해당 업체가 검찰에 고발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또 건설 구조물로 쓰이는 중국산 일부 에이치(H)형강은 중량 미달인 경우도 있다. 지난해 중국 철근 수입량은 30만여톤이었으나 올해 상반기(6월 기준) 수입량이 벌써 26만톤을 넘었다.

철강업체들은 설비투자를 줄이고 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36개 철강업체는 올해 4조5724억원의 설비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보다 24.8% 감소한 규모다. 그동안 외형적 성장에 초점을 맞춰 덩치를 불려왔으나 당분간 생존 전략으로 수익성 개선에 주력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인 셈이다. 하지만 건설·조선업체들이 원재료 가격 하락을 등에 업고 제품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있어 철강업체들로선 ‘갑’인 고객들의 요구를 외면하기도 어렵다.

이재광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철강금속산업 전망에 대해 “향후 글로벌 철강 수급은 그동안 쌓인 5억여톤의 잉여설비를 소화하는 구간으로 접어들 것으로 본다. 수급개선 시점이 관건인데, 중국 철강산업 구조조정 효과와 철강 수요 증가 속도에 따라 시기는 달라질 수 있다. 최소 2~3년은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중국 개발 ‘가성비 최강’ AI 등장에…미국 빅테크 ‘패닉’ 1.

중국 개발 ‘가성비 최강’ AI 등장에…미국 빅테크 ‘패닉’

투자·절세 ‘만능 통장 ISA’…증권사·은행 어느 쪽 선택할까? 2.

투자·절세 ‘만능 통장 ISA’…증권사·은행 어느 쪽 선택할까?

임시공휴일 지정하면 해외로 떠나 ‘내수 진작’이 반감된다? 3.

임시공휴일 지정하면 해외로 떠나 ‘내수 진작’이 반감된다?

이재용, 그룹 지배력 강화 위해 SDS 쪼개나 4.

이재용, 그룹 지배력 강화 위해 SDS 쪼개나

내란 쇼크에 원화 실질가치 엉망…64개국 중 63번째 5.

내란 쇼크에 원화 실질가치 엉망…64개국 중 63번째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