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클라우디아 골딘(Claudia Goldin) 하버드대 교수. AFP 연합뉴스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노동시장에서 성별 차이의 주요 요인을 발견한 여성 경제학자 클라우디아 골딘(Claudia Goldin) 하버드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9일(현지시각) 클라우디아 골딘을 2023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골딘은 수세기 동안 여성의 소득과 노동 시장 참여에 대한 최초의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했다”며 “(여성 소득과 노동시장 참여의) 변화의 원인과 남아 있는 성별 격차의 주요 원인을 밝혔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골딘은 1946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나 코넬대에서 미생물학을 전공하고 시카고대에서 경제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 하버드대 경제학과 최초의 여성 종신 교수가 됐고, 2013년 전미경제학회장을 역임했다.
여성의 경력과 가정의 역사, 경구피임약이 여성의 커리어와 결혼에 미친 영향, 여성의 대학 진학률이 남성보다 높아진 이유 등을 연구했다. 노벨 경제학상 후보로도 반복해 거론된 인물이다.
골딘은 200년이 넘는 장기 시계열 미국 데이터를 토대로 여성 중심의 경제사를 분석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를 통해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가 과거부터 계속 늘고 있다는 통념과는 달리 유(U)자형 곡선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가족에 대한 여성의 책임과 사회적 규범 변화에 따라 19세기 초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전환하면서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줄었고, 20세기 초 서비스업이 성장하면서 다시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커리어 그리고 가정’이라는 제목으로 그의 책이 국내에 소개된 바 있다. 성별 임금 격차의 원인을 밝힌 책으로, 골딘은 같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남녀 사이에 임금 격차가 벌어지는 요인을 ‘탐욕스러운 일자리’(greedy work)로 꼽았다.
부부가 아이를 낳으면서 “가차 없는 밀도로 불규칙한 일정에 대응해 가며 장시간 일할 것을 요구하고, 그 대가로 높은 보수를 지급”하는 일자리에 주로 남성이 남고, 여성은 아이에게 급한 일이 생겼을 때 언제든 사무실을 떠날 수 있는 유연한 일자리(일정 조정이 자유롭고 보수는 적은)에 머무는 ‘분업’을 하게 되면서 소득 격차가 커진다는 설명이다.
국내 대표 여성경제학자 중 한 명인 윤자영 교수(충남대)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골딘은 주류경제학자들이 활용하는 계량모델보다는 미국의 방대한 역사적 데이터를 꿰뚫는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노동시장 관련 여성의 참여와 차별, 분리 등을 밝혀냈다”며 “여성 노동시장 연구에서 이런 접근 방식을 노벨위원회가 인정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판단”이라고 말했다. 노벨경제학상 55년 역사에서 총 93명이 수상했는데 여성 수상자는 이번이 3번째다. 앞서 여성 수상자로는 지난 2009년 엘리노어 오스트롬 교수, 2019년에 에스터 뒤플로 교수가 있었다.
안태호 최하얀 기자
eco@hani.co.kr 조계완 선임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