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코로나 ‘과잉저축’ 234조로 올해 경제 선방…내년엔 ‘글쎄’

등록 2022-12-18 19:49수정 2022-12-18 20:17

고용 급감·경기후퇴
내년엔 ‘소비지출 역할’ 기대 난망
국내 물가 상승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지난 4월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과일 코너에서 시민들이 오렌지를 구매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물가 상승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지난 4월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과일 코너에서 시민들이 오렌지를 구매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아래서도 한국 경제가 2% 중반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민간 소비지출의 뒷받침 때문이다. 코로나 2년 동안 ‘과잉 저축’된 234조원을 활용해 가계가 쓴 소비지출이 생산·투자활동 위축 및 수출 둔화를 상쇄하며 성장을 이끌었다. 그러나 내년에는 경기 후퇴와 고물가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 고용 확장세 급감이 한데 겹치면서 소비지출 쪽에 ‘경제 버팀목 역할’을 더 기대하기는 어려울 거라는 우려가 나온다.

18일 <한겨레>가 한국은행 국민계정에서 민간부문(가계+법인기업) 총저축액 자료(2016~2021)를 활용해 분석해보니, 코로나 1년차인 2020년 민간의 총저축액은 635조3399억원으로 2016~2019년의 민간 연평균 총저축액(528조7838억원)보다 106조5561억원 ‘초과 저축’됐다. 코로나 2년차인 2021년 경우 민간의 총저축액은 656조3505억원으로 예년 평균 대비 초과저축액은 127조5667억원으로 나타났다. 2년간 초과저축액 합계는 234조1228억원에 이른다.

가계부문(가계 및 비영리단체)만 따로 보면 2016~2019년 연평균 가계 총저축액은 131조7676억원이다. 2020년 가계 총저축액인 216조6149억원의 경우 예년 대비 초과저축액은 84조8473억원, 2021년은 가계 총저축액(220조2695억원) 중 초과저축액이 88조5019억원에 달했다. 코로나 2년 동안 가계부문 초과 저축액이 173조3492억원에 이른 셈이다. 가계의 총저축률은 2020~2021년 10.5%~11.1%로, 2016~2019년(6.8%~7.5%)보다 크게 상승했다.

코로나 기간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로 모든 계층에서 소비 활동이 급감했을뿐 아니라 정보기술(IT)업종 중심으로 고임금·고소득 업종은 임금 및 자산소득이 오히려 증가했고, 자영업 및 저소득층도 정부지원금 수입이 들어오면서 저축액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나라의 저축액은 소비와 투자의 원천으로, 성장을 이끄는 주요 원동력이다. 가계와 기업의 초과저축액을 합산한 코로나 2년 민간 과잉 총저축액 234조원 중 상당 부분이 올해 상품 구입 등 소비지출에 쓰인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계정에서 민간부문의 최종소비지출 실질증감률(전년 동기 대비)은 연간으로 2020년 -4.8%, 2021년 +3.8%였는데 올해는 1분기(+4.3%)·2분기(+3.9%)·3분기(+5.7%) 모두 큰 폭의 증가세를 지속했다. 코로나 2년차인 2021년에 분기마다 민간부문의 최종소비지출이 1.4%~6.2% 증가한 것은 2020년의 대폭 감소(분기별 -3.9%~-6.4%)에 따른 일종의 기저효과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은행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효과 등으로 예상보다 훨씬 뜨거웠던 민간소비지출이 올해 2% 중반의 성장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내년에는 억압돼 있던 소비가 분출하면서 성장을 지탱해주는 효과가 크게 감퇴할 것으로 전망된다. 234조원의 과잉 저축액 중 일부가 남아 있더라도, 전반적인 경기 후퇴로 고용과 소득이 급감하고 부동산가격까지 큰 폭으로 하락하게 되면 가계마다 다시 소비지출을 줄이게 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메리츠증권은 “우리나라 상위 50% 이상의 가구는 여전히 초과 저축 상태에 있어 여력은 아직 있어 보이지만, 소비가 경제를 견인하는 역할은 올해보다 많이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조계완 선임기자 kye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1.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2.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3.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4.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2900원 짜장면, 900원 삼각김밥…내수 불황에 편의점·마트 초저가 경쟁 5.

2900원 짜장면, 900원 삼각김밥…내수 불황에 편의점·마트 초저가 경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