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이 10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3년 세계 경제 전망 발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정성춘 부원장, 왼쪽은 안성배 국제거시금융실장. 연합뉴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내년 세계 경제가 2.4% 성장률을 나타내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5월 내놓은 전망치보다 1.2%포인트나 하향 조정한 것이다. 대외연은 미국·유럽연합, 영국 등 주요 선진국과 중국·인도·브라질 등 신흥국을 가리지 않고 성장률 전망치를 일제히 낮춰 잡았다.
대외연구원은 10일 오전 ‘2023년 세계 경제 전망’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올해 성장률 예상치(3.1%)보다 0.7%포인트 낮은 2.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 2.7%보다는 낮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 2.2%보다는 높은 숫자다. 지난 5월 대외연이 내놓은 전망치(3.6%)보다는 1.2%포인트 하향조정됐다. 대외연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되는 가운데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국의 통화 긴축이 성장을 둔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외연은 선진국과 신흥국을 가리지 않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전망치의 낙폭이 가장 큰 곳은 유럽 지역이었다. 대외연은 내년 유로 지역 성장률 전망치를 애초 2.8%에서 0%로 크게 내렸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에너지 수급 문제의 직접적 영향을 받게 되면서 재정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데다, 금리 인상이라는 긴축 기조로 추가 여력이 제한된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미국은 0.6%로 애초 전망(2.2%)보다 1.6%포인트 떨어졌다. 물가와 금리 부담에 따른 민간 경제활동 위축이 예상되며, 중간선거 이후 정치적 과정에 따른 재정정책의 제약이 예상된다는 것이 근거로 제시됐다. 그밖에 영국 -0.2%, 일본 1.5% 등 주요 선진국들은 매우 낮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신흥국들의 전망치도 5월 대비 떨어졌다. 중국은 내년에 4.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가 진정되고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은 상방 요인으로 꼽히지만, 미·중 갈등과 중국 부동산 경기 둔화 등 불확실성이 아직 크다는 이유로 지난 5월 전망치(5.3%)보다는 내려갔다. 인도는 애초 6.5%에서 5.6%로, 러시아는 -0.3%에서 -2.5%로, 브라질은 1.3%에서 0.6%로 하향조정됐다.
지난 5월과 현재 상황의 변화로 대외연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를 꼽았다. 안성배 대외연 국제거시금융실장은 “지난 5월에는 많은 전망기관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올해 말쯤에는 어느 정도 해결이 될 것으로 전제하고 전망을 했었다. 하지만 현재로써 시나리오와 상황이 다르고 내년 상당 기간까지 전쟁의 영향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상황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대외연은 세계 경제성장의 하방 리스크로 △민간 부채 부담 △재정 역할의 딜레마 △지정학적 충돌 가능성을 꼽았다. 코로나19를 거치며 유동성 과잉으로 가계와 기업의 부채가 크게 확대된 가운데 최근 완화적 통화정책을 되돌리는 속도가 너무 빨라 역자산효과, 개인 및 한계기업의 파산, 금융 경색 등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또 물가는 오르고 경기는 침체하는 상황에서 재정 정책의 어려움도 리스크로 제시됐다. 대외연은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재정을 풀어야 하고 늘어난 국가부채와 물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재정을 줄여야 하는 딜레마에 빠져 있는 가운데, 대중영합주의적인 정책의 도입이 상황을 악화시킬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러시아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충돌, 대만을 둘러싼 미·중 충돌, 북한의 지속적 도발 등 지정학적 리스크도 언급됐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