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7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준 본부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AP=연합뉴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정책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한달 만에 다시 밟았다. 다만 연준은 향후 금리인상 속도는 조절할 수 있으며 앞으로 명확한 계획은 알리지 않겠다고 예고했다. 중앙은행이 물가와 경기 사이에서 위태로운 ‘줄타기’를 하는 국면이 본격화했다는 신호탄으로 읽힌다. 향후 한국은행의 정책 결정도 실기의 위험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연준은 27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 목표범위를 기존 1.50~1.75%에서 2.25~2.50%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달 중순 발표된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웃돌면서 인상폭이 1.00%포인트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으나, 그보다는 작은 0.75%포인트로 결정된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우리는 데이터와 최근의 금리 인상에 비춰 볼 때 0.75%포인트 인상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로써 연준은 두달 연속 거인의 보폭을 내디뎠다. 28년 만에 첫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한 지난달의 “통상적이지 않은 큰 폭의 인상”을 이어간 셈이다. 다만 연준의 향후 행보는 안갯속에 휩싸였다. 연준은 속도 조절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하는 동시에 0.75%포인트 이상의 인상을 이어갈 여지도 남겨뒀다. 파월 의장은 “통화정책 기조의 타이트닝(긴축)이 계속됨에 따라 인상 속도는 줄이는 게 적절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오늘보다 더 큰 폭의 인상을 단행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침체 가능성에 과거보다 큰 비중을 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실상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모양새다.
이제부터는 구체적인 금리 인상 계획을 알리지 않겠다고도 했다. 파월 의장은 “이젠 회의가 열릴 때마다 그때그때 결정을 내려야 할 시기가 왔다”며 “앞으로는 명확한 가이던스(전망)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했다. 향후 금리 인상폭을 결정하는 기준을 묻는 질문에는 “확보되는 데이터를 보고 판단하겠다”고만 했다. 이제는 물가와 경기 양쪽의 리스크가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어느 쪽도 미래를 가늠할 수 없어졌다는 계산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파월 의장은 ‘불확실’이라는 단어를 7번 이상 썼다. “모르겠다”거나 “확신이 없다”는 표현도 수차례 반복했다. 엇갈리는 지표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2분기에 소비 지출과 기업의 고정투자 등 수요가 둔화됐지만, 노동시장을 포함해 매우 잘하고 있는 부문이 아주 많다”고 했다. 이어 “미국 경제가 이미 침체에 빠졌을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연착륙을 달성하는 것은 최근 수개월간 더욱 어려워졌다”고 했다.
이날 연준 기자회견 이후 혼돈에 빠진 시장은 엇갈린 해석을 내놨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와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등은 오는 9월 연준이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하는 데 그칠 것이라고 내다본 반면, 시티그룹은 금리가 9월 0.75%포인트 인상을 거쳐 연말에는 4%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제 미국 정책금리는 한국 기준금리(2.25%)를 추월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한·미 금리 역전보다는 중앙은행의 실기에 따른 리스크가 더 커졌다고 본다. 금리를 지나치게 올려 경기 침체를 불러일으키거나, 반대로 필요 이상으로 인상 속도를 조절해 물가가 통제 밖으로 벗어날 위험이 높아졌다는 평가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