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conomy | 소비자 리포트
유해논란 뒤 더 벌어진 ‘안전 격차’
2~4배 비용 더 들여야 살 수 있는 ‘안전’
경제력·정보력 부족한 소비자는 접근 어려워
“알 권리 보장돼야 선택 권리도 생겨”
유해논란 뒤 더 벌어진 ‘안전 격차’
2~4배 비용 더 들여야 살 수 있는 ‘안전’
경제력·정보력 부족한 소비자는 접근 어려워
“알 권리 보장돼야 선택 권리도 생겨”
여성환경연대, 참여연대, 녹색연합, 한국여성민우회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생리대 모든 유해성분 규명 및 역학조사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독성물질 검출 생리대 논란과 살충제 성분 달걀 파동 뒤 풍경이다. 경제력과 정보력 없이는 위험 물질로부터 안전을 지키기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누구나 평등하게 안전할 권리’는 안전 격차 사회에서 보장되지 못하는 셈이다. 시민단체들은 “평등하게 안전한 사회를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어떤 제품이 안전한지 제대로 된 정보부터 알 수 있게 ‘알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 경기도 군포시의 회사원 조원영(가명·33)씨는 생리 기간을 앞두고 허탈해졌다. 해외 유기농 생리대를 사려고 여러 약국과 매장을 전전했지만 모두 품절이었다. 해외 직구를 알아보니 중형 1개 값이 1200원이 넘었다. 국내 일반 생리대는 온라인 할인까지 더하면 300원 안팎이지만 사고 싶지 않았다. 조씨는 할 수 없이 국내산 유기농 커버 생리대를 샀다. 값은 일반 제품보다 2배가 넘었다. #2. 김미선(34·전북 진안군)씨는 5살짜리 자녀를 위해 동물복지 농장에서 파는 달걀을 사기 시작했다. 정부가 산란계 농가 전수 조사를 했다지만 마음이 놓이지 않았다. 대신 1주일에 10개 넘게 먹던 달걀을 2주에 10개로 줄였다. 자녀 밥상에만 놓는다. 지역 유통업체에서는 구할 수 없어 온라인 쇼핑몰에서 일반 달걀보다 2배 넘게 비싼 값에 사먹고 있다.
생리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생리컵 사진 한겨레DB
동물권 단체 `케어'회원들이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안전한 먹거리 문화와 소비자 권리 획득을 위한 시민단체 연대 기자회견을 열어 살충제 달걀을 이용한 가공식품들로 위협받는 먹거리 문화를 비판하는 행위극을 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