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부터 전국의 편의점과 약국에서 자가검사키트가 판매된다. 세븐일레븐 제공
씨유(CU)와 지에스(GS)25 등 편의점들도 15일부터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를 판매한다. 정부 지침으로 편의점과 약국에서만 자가검사키트를 판매할 수 있게 되면서 편의점들이 물량 확보와 재고 알림 서비스 등에 공을 들이고 있다.
씨유는 이날 전국 1만5800여개 점포에 각각 자가검사키트 20개들이 1박스씩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각 편의점에 물량이 보급되는 점심시간 전후로 매장에서 1인당 5개씩을 구매할 수 있다. 씨유가 이날 현재까지 확보한 자가검사키트는 래피젠 제품 100만개다. 이번 주중 휴마시스 제품도 추가로 확보해 공급할 계획이다.
지에스(GS)25도 이날 오후부터 전국 1만5500여개 점포에서 자가검사키트를 판매한다. 점포별로 래피젠 제품 20개들이 한 박스가 공급되고, 1인당 구매 한도는 5개다. 이날까지 지에스25가 확보한 물량은 80만개 분량이다.
세븐일레븐은 17일부터 전국 1만1170여개 점포에서 자가검사키트를 판매한다. 휴마시스 제품 100만개를 확보했다. 이마트24도 휴마시스 및 수젠텍 자가검사키트 50만개분을 확보해 17일부터 전국 점포에 유통한다.
편의점 자가검사키트 낱개 판매가는 6천원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가격 급등을 막기 위해 다음 달 5일까지 대용량 포장 자가검사키트를 약국·편의점에서만 개당 6천원에 판매하도록 한시적으로 지정했다.
구매량을 1인당 5개로 제한했지만, 신분증 확인 절차가 없어 사재기에 따른 조기 물량 소진 우려도 나온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자가검사키트는 마스크와 달리 매일 꼭 써야 하는 필수품이 아니고 증상이 있는 경우에만 일회성으로 사용하는 제품”이라며 “가격대가 비싸고 앞으로 물량도 계속 공급될 예정이라서 심각한 사재기 현상이 벌어질 것 같지는 않다”고 예상했다.
편의점들은 실시간 자가검사키트 재고량 확인 서비스를 제공해 소비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씨유는 자사 애플리케이션 ‘포켓CU’, 세븐일레븐은 ‘세븐일레븐’ 앱에서 자가검사키트를 검색하면 근처 매장의 재고 수량을 볼 수 있다. 이날 오후 현재 유동인구가 많은 일부 점포를 제외하고 대다수 점포에서 자가검사키트 재고가 안정적인 상황이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