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쌍용차…대부분 경유차 모델 보유
경유값 인상 없고 2030년 기한 등 효과 제한적
경유값 인상 없고 2030년 기한 등 효과 제한적
정부가 8일 미세먼지 대책의 하나로 경유차 운행 제한 정책을 내놓으면서 디젤 엔진을 장착한 경유차는 한층 더 쇠락의 길로 접어들게 됐다. 2년여 전에도 미세먼지 대책의 후폭풍을 맞은 완성차 업계는 이번 조처로 경유차 판매가 더 위축될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경유차 비중이 높은 쌍용차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쌍용차는 소형급인 티볼리 가솔린 모델을 제외하고는 모두 경유차다. 한때 디젤 엔진 중심의 스포츠실용차(SUV)에 특화돼 이 부문에서 시장의 강자로 떠올랐으나 경유차 퇴조라는 시대 흐름에 밀려 기로에 서게 됐다. 쌍용차는 내년에 배기량 1.5ℓ 가솔린 모델과 2020년 전기차 출시를 목표로 친환경차 라인업을 점차 강화한다는 방침이나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쌍용차 관계자는 “정부의 환경 정책에 부합하기 위해 가솔린 엔진 개발과 친환경차인 전기차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면서 “향후 차량 판매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는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경유값 인상 같은 강력한 억제 카드를 꺼내들지 않는 이상 업계에 끼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현재로선 정부의 ‘경유차 퇴출’ 방침이 공공기관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것도 ‘2030년까지’라는 기한을 뒀다. 경유값 인상 문제는 그동안 미세먼지 대책의 하나로 거론돼 왔지만 서민경제에 미칠 영향 때문에 정부도 섣불리 건드리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주차료나 혼잡 통행료 감면 등 과거 저공해 자동차로 인정받은 경유차에 부여되던 인센티브를 폐지하는 정도로는 신규 판매를 억제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업계에서는 이번 대책이 장기적으로 시장 수요를 디젤에서 가솔린으로, 내연기관 엔진 차량에서 친환경차로 이전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경유차 퇴출은 세계적인 추세이기도 하다. 실제로 ‘탈 디젤’은 이미 세계 자동차 시장의 큰 흐름으로 자리잡았다. 주요 나라에서 경유 차량의 시내 진입 규제를 계속 강화하고 있고 차업계는 이런 경향에 맞춰 내연기관을 대체할 친환경차 개발에 속도를 내왔다. 지난 2015년 ‘디젤게이트’가 불거진 이후 폴크스바겐과 도요타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잇따라 디젤차 생산을 줄여왔다. 현대차는 지난 8월 그랜저와 소나타 등 4개 차종의 디젤 엔진 생산을 중단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이슈미세먼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