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쓸데없이 진지했던 ‘그때’가 그립다

등록 2013-11-29 19:47수정 2013-11-30 18:36

<러브레터>(1995)
<러브레터>(1995)
[토요판] 김세윤의 재미핥기
 눈밭을 걷는 여자의 걸음이 빨라진다. 두 발이 마음의 속도를 미처 따라가지 못해서 픽, 앞으로 고꾸라진다. 하지만 씩씩하게 일어나 빨간 스웨터에 묻은 눈을 대충 털어내고 다시 뛰기 시작하는 여자. 숨이 차올라 더 달릴 수 없는 지경이 되어서야 멈춘다. 그러고는 저 멀리 우뚝 서 있는 산봉우리를 향해서, 아니 2년 전 그 산봉우리가 집어삼킨 자신의 연인을 향해서 소리친다. “잘 지내죠? 저는 잘 지내요.”

 그녀의 애절한 외침이 겨울산에 울려퍼지기 한 해 전, 어느 좁고 낡은 아파트 욕실에 우두커니 앉아 있는 한 남자가 있었다. 뚜껑 덮인 변기 위에 흰색 속옷 차림으로 걸터앉은 남자는 손에 든 비누에게 말을 걸었다. “너무 야위었어. 전엔 통통했는데. 왜 그래? 자신감을 가져.” 이번엔 물이 뚝뚝 떨어지는 걸레를 집어든 남자. “그만 울어. 계속 울기만 할 거야? 강해져야지. 왜 축 처져 있는 거야?” 남자는 결국 젖은 걸레를 비틀어 ‘눈물’을 모두 짜냈다. 추위에 떨고 있는(?) 빨래를 걷어서 따뜻하게 다림질도 해주었다. 그렇게 방 안의 모든 사물을 위로하고 또 격려하고 나서야 남자는 비로소 잠자리에 드는 것이었다.

 여기까지 읽는 동안 이미 <러브레터>(1995)와 <중경삼림>(1994)이란 영화 제목을 재빨리, 그리고 정확히 기억해낸 사람은 나름 응답할 게 있는 1990년대를 보낸 것이다. 누구는 스키장에서 “오겡키데스카?”를 함께 외쳐대던 커플로, 누구는 원룸에서 젖은 걸레의 눈물을 홀로 쥐어짜던 싱글로. 누구는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책장을 넘기면서, 또 누구는 팝송 캘리포니아 드림인(california dreamin’)을 흥얼거리면서. 그 여자의 메아리를 잊지 못해 탄식하는 사람들 중 하나였거나, 아니면 그 남자의 넋두리가 잊혀지지 않아 피식 웃는 사람들 중 하나였거나. 서로 포즈와 표정은 달라도 결국 같은 카메라 앞에서 웃고 있는 단체사진 속 동창생처럼, 어쨌든 우리 모두는 <러브레터>와 <중경삼림>의 관객으로 1990년대를 함께 통과했던 것이다.

 이와이 슌지와 함께 관객은 ‘짝사랑’을 다시 시작했다. 왕가위와 더불어 오래도록 ‘옛사랑’을 잊지 못하였다. 이와이 슌지 영화의 주인공들은 사랑이 시작되었다는 걸 너무 늦게 알아챘고, 왕가위 영화의 주인공들은 사랑이 끝났다는 사실을 너무 늦게 받아들였다. 두 사람이 그려낸 사랑의 본질은 같았다. 그것은 끊임없이 어긋나고 엇갈리는 사랑. 말하자면, 시계 속 시침과 분침의 관계와도 같은 것이었다.

 숫자 ‘12’위에 포개져 잠시 하나가 된 시침과 분침. 하지만 시침을 그 자리에 남겨두고 분침 혼자 조금씩 멀어진다. ‘12’를 그리워하면서 ‘1’로, ‘2’로, ‘3’으로…. 그렇게 계속 앞으로 나아가지만 그것은 동시에 과거의 제자리로 돌아가는 일이기도 하다. 그게 바로 둥근 원을 그리며 도는 분침의 피할 수 없는 운명이다.

김세윤 방송작가
김세윤 방송작가

 이와이 슌지와 왕가위가 만든 세계에선 누구나 시곗바늘이 된다. 결국엔 첫사랑으로. 결국엔 옛사랑으로. 한 사람의 일생이 다른 한 사람의 일생과 포개지는 아주 짧은 순간을 위해 참 먼 길을 돌아가는 것이 사랑의 숙명이라고 믿게 만든다. “그러므로 우리는 물결을 거스르는 배처럼, 쉴새없이 과거 속으로 밀려나면서도 끝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위대한 개츠비>의 이 유명한 마지막 문장을 이와이 슌지와 왕가위는 이렇게 고쳐쓰고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원을 따라 도는 시곗바늘처럼, 쉴새없이 미래로 밀려나면서도 끝내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다.”

 20세기의 마지막 10년. 나도 영화도 세상도 지금보다는 조금 더 낭만적이었을 그때. 나는 ‘쉴새없이 미래로 밀려나면서도 끝내 과거로 돌아가는’ 사람들과 사랑에 빠졌다. 하나의 외로움이 가만히 또 하나의 그리움을 껴안는 영화 두 편에 마음을 빼앗겼다. 이와이 슌지와 왕가위의 관객으로 20대를 보냈다. 제법 순진했던 ‘그때의 나’를 지금도 기분 좋게 추억한다. 쓸데없이 진지했던 ‘나의 그때’가 예쁘고 그립다.

 <러브레터>와 <중경삼림>이 다시 개봉했다. 그 여자의 메아리와 그 남자의 넋두리에 다시 응답해 볼 생각이다. 그런다고 내 청춘의 유통기한이 1만년이 되진 못하겠지만, 비누처럼 야윈 내 감성이 조금 통통해지기는 할 테니까.

김세윤 방송작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1.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큰불 난 한글박물관, 정조 편지 등 소장품 8만9천점 전부 이송 2.

큰불 난 한글박물관, 정조 편지 등 소장품 8만9천점 전부 이송

[꽁트] 마지막 변신 3.

[꽁트] 마지막 변신

우주에 간 공효진·이민호도 고전…K-드라마가 우주에서 ‘쓴맛’ 본 이유 4.

우주에 간 공효진·이민호도 고전…K-드라마가 우주에서 ‘쓴맛’ 본 이유

‘믿음’이 당신을 구원, 아니 파멸케 하리라 [.txt] 5.

‘믿음’이 당신을 구원, 아니 파멸케 하리라 [.txt]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