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가 대주주인 종편 방송 의 임직원들이 지난 18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채널 설명회에서 광고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종편4사 1일 일제히 첫 방송
신문과점 이어 방송도 소유
여론 다양성·공공성 위축
광고주와 홍보성 기사 거래
‘직접영업 폐해’ 이미 드러나
방송콘텐츠 상업화 불보듯
신문과점 이어 방송도 소유
여론 다양성·공공성 위축
광고주와 홍보성 기사 거래
‘직접영업 폐해’ 이미 드러나
방송콘텐츠 상업화 불보듯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동아일보>, <매일경제> 등 보수신문이 만든 종합편성채널(종편) 4곳이 1일 일제히 개국한다. 2009년 7월 한나라당이 신문과 방송 겸영을 전면 허용하는 내용의 언론법 개정안을 국회에서 날치기 통과시킨 이후 28개월여 만이다. 현 정부의 전폭 지원을 업고 태어난 조중동 종편은 한국 사회의 여론 다양성 및 방송의 공공성을 질식시키고 민주주의 기반을 심각히 훼손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디어 연구기관인 미디어경영연구소의 지난 10월 자료를 보면, 종편을 소유한 조중동 3개 신문의 지난해 발행부수는 전국 단위 종합일간지 전체의 72.8%를 차지했다. 신문시장을 과점해온 보수신문이 보도 기능을 갖는 종편까지 소유하면 곧바로 여론시장에서 다양성이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티브이조선>(조선일보사)과 <채널에이>(동아일보사) 등 일부 종편은 신문사 편집국과 종편 보도국의 통합 뉴스룸을 꾸리면서 종편 보도와 신문 보도를 긴밀히 연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민희 전 방송위 부위원장은 “조중동이 방송까지 한다는 건 종이매체에 갇혀 있던 그들의 보수·수구 의제를 영상 콘텐츠로 만들어 시청자의 감각에 직접 호소할 수 있게 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신·방 겸영을 원칙적으로 허용하는 미국조차도 ‘동일 시장’에서 신문과 방송을 함께 가질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2007년 동일 시장 내 신방 겸영 일부 허용을 추진했지만 의회가 이를 부결시켰다. 특정 언론기업의 영향력을 지나치게 키워 여론 다양성을 해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지난 10년 동안 정체되어 있는 방송광고 시장에서 종편 4곳의 출현은 여론 다양성의 토대가 되는 작은 매체의 생존에 치명적 위협으로 작용한다. 박원기 한국방송광고공사(코바코)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종편 출범과 광고시장 변화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서 종편 4사 및 새 보도전문채널 한 곳을 합한 내년 전체 광고비를 6038억원으로 전망했다. 대신 신문에서는 469억원, 라디오에서 110억원, 잡지에서 30억원의 광고비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이강택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은 “거대 신문을 등에 업은 종편이 신문광고에 이어 방송광고까지 빨아들인다면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를 대변해온 중소 매체는 말라죽는 수밖에 없다. 정부가 종편 특혜로 여론 다양성을 후퇴시키는 데 앞장서고 있다”고 말했다.
시민·언론단체의 강한 반대에도 종편한테 주어진 광고 직접영업 특혜는 방송 보도와 영업의 칸막이를 허물면서 방송 공공성의 토대를 크게 약화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광고시장에서는 직접영업에 따른 폐해가 이미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동아일보사가 대주주로 있는 종편 <채널에이>는 지난달 주요 광고주에게 제공한 ‘프로그램 가이드’ 책자에서 뉴스 등 보도프로그램 광고 상품을 소개하며 “보도상품 패키지(광고)를 진행할 경우, 30분짜리 국내 제작 ‘광고주 맞춤형 특별기획 프로그램’을 제작·방송하겠다”고 약속했다. 자사 보도 프로그램의 앞뒤 및 중간광고를 묶어서 구매하면 해당 기업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만들어주겠다는 뜻이다. 광고와 프로그램의 맞교환인 셈이다.
강혜란 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정책위원은 “광고 대가성 프로그램 제작을 약속하는 행태는 편성·제작과 광고의 경계를 스스로 지우겠다는 것”이라며 “시민사회가 종편의 직접영업에 반대했던 이유가 바로 이런 행태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상업방송인 종편 4곳이 과도한 시청률 경쟁에 몰입하면서 방송 콘텐츠의 저질화를 가속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김승수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방송시장에서 새로 등장하는 4개의 종편은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드라마와 연예·오락 등 방송 콘텐츠의 선정성 경쟁, 상업주의 경쟁으로 방송의 공공성이 크게 위축될 게 분명하다”고 말했다. 최성진 류이근 기자 cs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