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83억 투자’ 드러나자
언론노조·시민단체 반발
언론노조·시민단체 반발
사실상 정부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케이티(KT)가 자회사 케이티캐피탈을 통해 조·중·동·매 종합편성채널에 각각 20억에서 23억원의 지분을 투자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자, 언론단체에서는 이번 기회에 종편사의 모든 투자자를 밝혀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9일 이강택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은 “케이티는 인사는 물론 통신요금 승인과 이동통신 주파수 배정 등과 관련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끊임없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기업”이라며 “이런 케이티가 자회사를 통해 자본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던 종편에 ‘긴급 수혈’을 해줬다는 것은 종편을 위해 정부가 발벗고 나섰다는 명백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공기업이었던 케이티는 2002년 민영화됐지만 인사 등에서 여전히 정부의 입김을 받고 있다. 케이티캐피탈은 지난 3월9일 조선 종편에 20억원, 4월1일 중앙·매경 종편에 각각 20억원씩, 4월7일 동아 종편에 23억9000만원을 지분인수 방식으로 투자했다. 종편 4개사의 납입자본금은 최소 3100억원(조선 종편)이어서 지분율 1% 미만에 해당하는 이 업체의 투자 사실은 그동안 드러나지 않고 있었다. 방통위는 지난 1월1일 종편 사업자의 주요 주주 구성 현황을 공개하며 그 기준을 1% 이상 대주주 및 주요 주주로 제한했다.
양재일 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 대표는 “방통위는 즉각 1% 미만의 투자자도 공개해야 한다”며 “국민을 상대로 이윤을 축적해온 케이티가 자회사를 통해 종편에 투자한 돈을 회수하지 않으면 이달 말부터 케이티 집전화와 이동전화, 인터넷 가입자를 상대로 일제히 해지 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최성진 기자 cs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