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한동원의 영화감별사
재개봉작 <드라이브>
초침 소리까지 정밀 계산된
고요와 액션 ‘세련된 조화’
독보적 절제의 멋 보여줘
“그 남편 빚 대신 갚아주려고
강도질하는 놈은 처음 본다”
남편·애 있는 여자 사랑하는
주인공 역할 라이언 고슬링
특유 표정연기 ‘감정 증폭기’
재개봉작 <드라이브>
초침 소리까지 정밀 계산된
고요와 액션 ‘세련된 조화’
독보적 절제의 멋 보여줘
“그 남편 빚 대신 갚아주려고
강도질하는 놈은 처음 본다”
남편·애 있는 여자 사랑하는
주인공 역할 라이언 고슬링
특유 표정연기 ‘감정 증폭기’

온화할 땐 온화함을 더, 난폭할 땐 난폭함을 더 증폭시키는 라이언 고슬링을 필두로 케리 멀리건, 브라이언 크랜스턴, 앨버트 브룩스, 오스카 아이작, 론 펄먼 등 쟁쟁한 배우들의 연기가 압권이다. ㈜풍경소리 제공
위험해지기로 했다, 그의 남편을 위해 사실 이 영화의 공개 당시 극과 극으로 갈렸던 반응 중 부정적인 쪽도 충분히 납득 가능한 것이었다. 물론 이 영화는 처음부터 작정하고 ‘복잡하지 않은 로맨스’를 표방하고 들어가긴 했다. 하지만 그래도 ‘그냥 한방에 한눈에’ 이외에는 아무런 설명이 없는, 이웃집 여인 ‘아이린’(케리 멀리건)에 대한 주인공의 사랑 및 헌신은 사실, 전통적 방식의 이야기 전개와 그 재미에 무게중심을 두고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는 상당히 거부감 들 법한 설정이었을 것이다. 더구나 주인공의 사랑은 아이린뿐 아니라 그의 어린 아들에게까지 단숨에 뻗어나간다. 게다가 이 사랑은 아이린이 이혼녀도 배우자 사별녀도 아닌 그냥 유부녀이며, 그의 남편이 현재 감옥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다음에도 변함없이 유지된다. 그로도 모자라 주인공의 사랑은, 얼마 뒤 감옥에서 나온 아이린의 남편 ‘스탠더드’(오스카 아이작)에게까지 두루 널리 미친다. 주인공은 감옥에서 빚을 지고 나온 스탠더드가 지역 조폭들로부터 빚 탕감을 위한 ‘한탕’을 강요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이 위험한 한탕에 자진 합류해 그의 필살기―딱 5분 동안만 완전히 의뢰인의 사람이 되어주며, 그 5분 동안만은 경찰 헬기조차 따돌리는 놀라운 운전 실력(이라기보다는 도주 전략)으로 의뢰인의 일신의 안위를 책임진다―를 기꺼이 헌납한다.

아름답기도 끔찍하기도 냉정하기도 따뜻하기도 한 모든 상황에 적절한 고속촬영, 자신의 존재를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인공적 조명, 잘 다듬어진 대사가 특징인 영화 <드라이브>는 다루고 있는 무기의 한발 한발이 낭비 없이 모두 목표에 가 박히는 저격용 라이플 같은 영화다. 이름 없는 주인공(라이언 고슬링·오른쪽)이 사랑하는 여인의 남편을 위해 복수하는 이야기다. ㈜풍경소리 제공

이름 없는 주인공(라이언 고슬링)의 사랑은 아이린(케리 멀리건)뿐 아니라 그의 어린 아들에게까지 단숨에 뻗어 나간다. 게다가 이 사랑은 아이린이 이혼녀도 배우자 사별녀도 아닌 그냥 유부녀이며, 그의 남편이 현재 감옥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다음에도 변함없이 유지된다. ㈜풍경소리 제공
들숨 날숨에 조율된 리듬을 타고 특히나 오랜만에 다시 봐도, 이 영화가 사운드를 사용하는 방식은 건강에 해로울 정도의 세련됨을 보여준다. 이는 단순히 오프닝에서 깔리는 카빈스키의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나이트콜’의 섹시함이나, 주인공이 카센터 사장 섀넌의 주검 앞에서 눈물을 흘린 뒤(이는 이 영화에서 그가 흘린 유일한 눈물이다) 스턴트 대역용 가면을 쓴 채 피자가게 유리문을 통해 조폭대장 니노의 모습을 조용히 지켜보는 슬로모션에 깔리던 리츠 오르톨라니의 ‘오 마이 러브’(1971년 이탈리아 영화 <안녕, 톰 아저씨>에 사용된 곡)가 안기는 소름 돋을 정도의 애수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요 10년 내에 이 장면에 필적할 만큼 절묘한 선곡도 없었을 것이다). <드라이브>는 모두가 목청을 높일 때는 침묵의 음량이 가장 크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이것은 앞서 말한 ‘오 마이 러브’가 흐르는 장면에서뿐 아니라, 이 영화의 또 다른 하이라이트들, 즉 스탠더드가 죽게 된 그 문제의 한탕에 함께 가담했던 배경 불상의 여인(하긴 주인공부터 시작해 이 영화 대부분의 인물들이 그렇다) ‘블랜치’(크리스티나 헨드릭스)가 주인공과 함께 피신한 모텔방에서 당하는 돌연한 샷건 습격 장면에서 증명되고 있다. 또는 주인공이 해야 할 마지막 일을 마치고 차 운전석에 앉아 있는 장면에서도. 이 최소한으로 걸러진 사운드 덕분에, 사소한 소리들도 모두 제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주인공이 전당포를 털러 들어간 스탠더드와 블랜치를 차 안에서 기다리고 있는 장면에서의 시계의 초침 소리, 공회전하는 엔진 소리, 그리고 갑자기 나타난 정체불명의 차를 보고 주인공이 주먹을 움켜쥘 때의 가죽장갑 소리는 어떤 대사나 음악보다 효과적으로 감정을 드러내고 긴장을 고조시킨다.

이름 없는 주인공(라이언 고슬링)의 사랑은 아이린(케리 멀리건)뿐 아니라 그녀의 어린 아들에게까지 단숨에 뻗어 나간다. 게다가 이 사랑은 아이린이 이혼녀도 배우자 사별녀도 아닌 그냥 유부녀이며, 그녀의 남편이 현재 감옥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다음에도 변함없이 유지된다. ㈜풍경소리 제공
시끄러운 세상에서 만난 ‘쿨한 침묵’ 이 모두는, 이 영화가 조폭 두목 버니의 입을 빌려서 “80년대 액션 영화. 섹시한 거. 평론가는 유럽풍(필시 이는 장뤼크 고다르나 장피에르 멜빌을 가리키는 것이리)이라고 했지만 내가 보기엔 쓰레기”라고 말하는 영화들, 즉 ‘엘에이(LA) 네오 누아르’라고 불리기도 하는 1970~80년대 엘에이 배경의 ‘고독한 승냥이’형 범죄액션 영화들에 대한 애정과 존경 위에 얹어져 있다. 말하자면 이 영화의 직계 조상 격인 월터 힐의 <드라이버>(1978)나 마이클 만의 초기작 <도둑>(1981)을 필두로, ‘고독한 승냥이 액션’의 출발점이자 여전히 시퍼렇게 살아 있는 영향력인 장피에르 멜빌의 <사무라이>(1967), 그리고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세르조 레오네, 오우삼(우위썬), 윌리엄 프리드킨, 존 카펜터 같은 감독들의 작품들을 우리는 어렵잖게 불러낼 수 있다. 그것은 과연, 타란티노가 초기에 보여준 영화광적 흥분을 다시 느끼게 만드는 것이었다. 물론 니콜라스 빈딩 레픈 감독의 이후 작품들이 <드라이브>만큼의 흥분을 끌어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사실이 <드라이브>의 멋을 휘발시키진 못한다. 기회를 잡았다 싶으면 가용한 모든 것들을 투입하고, 그 과잉 물량이 내뿜는 최고 음량을 최대한 오래 지속시켜 단번에 대세를 굳히려 하는, 하여 결국 듣는 이의 청력만 둔하게 하는 부르짖음이 대기에 가득한 요즘, 침묵과 절제의 힘을 아는 이 영화의 쿨함은 새롭다. 오히려 영화가 나왔던 9년 전보다도 더.
▶ 한동원 영화평론가. 병아리감별사 업무의 핵심이 병아리 암수의 엄정한 구분에 있듯, 영화감별사(평론가도 비평가도 아닌 감별사)의 업무의 핵심은 그래서 영화를 보라는 거야, 말라는 거야에 대한 엄정한 판별 기준을 독자들께 제공함에 있다는 것이 이 코너의 애초 취지입니다. 뭐, 제목이나 취지나 호칭 같은 것이야 어찌 되었든, 독자 여러분의 즐거운 영화보기에 극미량이나마 보탬이 되자는 생각만큼은 놓치지 않으려 합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