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초콜렛 도넛>의 한 장면
[토요판] 김세윤의 재미핥기
작은 동그라미를 그린다. 맨홀 뚜껑 크기가 적당하다. 동그라미 안에 한 발로 서면서 “돈~”, 동그라미 밖으로 점프해 나오면서 “까스!”. 뒤따라 점프해 오는 녀석에게 발을 밟히면 아웃, 다시 돌아오지 못할 정도로 원에서 멀어져도 아웃. 누군가 눈짓으로 한 명을 지목하면 아이들은 차례로 그 녀석을 향해 점프한다. 발을 밟는 게 여의치 않을 땐 두 팔 벌려 앞을 막아선다. 원에서 멀어지도록, 원 안에 다시 발을 들여놓을 수 없도록, 다 같이 힘을 합쳐 그 한 명을 밀어내는 것이다. 그러니 찍히면 죽는다. 밟히면 끝이다. 밀려나면 지는 거다. 동그라미를 작게 그릴수록 더 치열해지던 게임. 어릴 때 즐겨 하던 일명 ‘돈까스 놀이’.
영화 <초콜렛 도넛>을 보면서 문득 ‘돈까스 놀이’를 기억해냈다. 그 옛날 학교 운동장에 내가 그려 넣은 텅 빈 동그라미를 떠올렸다. 이번엔 내가 운동장이다. 마른 먼지 풀풀 날리는 내 마음 위로 정성껏 원 하나를 그리기 시작한 <초콜렛 도넛>. 실화에서 싹튼 이야기가 지나간 선을 따라 동그랗게 눈물이 고이는 영화다.
아이는 다운증후군. 아이 엄마는 약물중독. 이웃집에 동성애자 루디(알란 커밍)가 산다. 엄마가 감옥에 간 뒤 혼자 남겨진 아이. 루디가 먼저 말을 걸자 아이가 순순히 곁을 내준다. 도저히 모른 척할 수 없다. 결국 루디는 14살 소년 마르코(아이작 레이바)의 아빠가 되기로 마음먹는다.
애인 폴(개릿 딜라헌트)이 사는 집에 마르코를 처음 데려간 날, 폴이 건넨 초콜릿 도넛을 크게 한입 베어 무는 마르코. 단맛이 입안에 퍼지자 활짝 웃으며 “생큐”(Thank you) 하고 말하는 순간, 영화를 보는 내 마음에도 마르코가 머물 자리가 생겼다. 딱 그만큼. 도넛 한 개만큼. 작고 동그랗게.
하지만 1979년 미국에서 게이 커플이 남과 똑같은 권리를 누리는 건 쉽지 않다. 아이를 입양하는 게 특히 쉽지 않다. 조금 ‘다른’ 성적 취향을 아예 ‘틀린’ 욕망으로 단정지은 자들끼리 눈짓을 주고받는다. 두 팔 벌려 루디와 폴을 막아선다. 자신들의 세상에서 멀어지도록, 자신들의 울타리 안에 발을 들여놓을 수 없도록, 똘똘 뭉쳐 마르코의 새 가족을 밀어내는 것이다. 폴과 루디에겐 사는 게 곧 ‘돈까스 놀이’. 너무 멀고 또 너무 작은, ‘그들만의 동그라미’.
마침내 루디가 무대에 올라 목놓아 부르는 ‘아이 셸 비 릴리즈드’(I shall be released). 처음엔 고작 도넛 하나 크기였던 관객의 ‘연민’을 기어이 끈끈한 ‘연대’의 마음으로 넓히고 마는 <초콜렛 도넛>의 라스트신에 이르러, 나는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가 영화를 본다는 건 결국, 생각의 동그라미를 다시 그리는 일이 아닐까. 울타리 밖의 존재를 손가락질하기 전에, 혹시 처음부터 내가 너무 작은 원을 품고 살아온 건 아닌지 돌아보게 만드는 게 영화의 진짜 미덕은 아닐까. 하지만 어차피 강한 놈이 살아남고, 모난 돌이 정 맞게 되어 있고, 억울하면 출세하라고 말하는 세상에서, 통념의 지름을 키우고 관용의 둘레를 넓히는 것만으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작 동그라미 하나로 대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도넛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마르코가 좋아하는. 서로가 서로의 마음을 크게 한 입 베어 물고선 “생큐”라고 말하는 멋진 순간을 만들 수 있다. 돋보기안경도 만들 수 있다, 마르코가 쓰고 다니는. 친구의 눈동자를 더 깊이 들여다보며 더 환하게 웃을 수 있다. 그리고 또 동그라미는 할 수 있다. 디스코를 좋아하는 마르코와 함께 “둥글게 둥글게 빙글빙글 돌아가며” 춤을 추게 만들 수 있다. 동그라미라는 도형은 ‘돈까스 놀이’처럼 야박한 게임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강강술래처럼 너그러운 놀이의 대단원이 되기도 하니까. 그렇게 우리들의 마음과 마음이 계속 열심히 동그래지면 언젠가 이 뾰족한 세상의 모서리를 모두 둥글게 만들지도 모른다.
영화를 보는 건 즐겁지만 아주 많은 영화를 봐야 하는 건 때로 즐겁지 않다. 내가 좋아하는 걸 여전히 계속 좋아하는 덕에 먹고살다가도 문득, 이게 사는 건가, 괜히 투덜대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러다 아주 가끔, 정말 아주 가끔, <초콜렛 도넛> 같은 영화를 만난다. 그럴 때면, 그래도 세상에 영화라는 예술이 있어 참 다행이구나 싶다. 마르코의 미소를 보고 나면, 루디의 노래를 듣고 나면, 무엇보다 이렇게 굉장한 라스트신을 보고 나면, 마음속에 더 큰 동그라미를 그릴 수밖에 없다.
김세윤 방송작가
김세윤 방송작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