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단일화토론 시청률 18.7%…2002년엔 30.9%

등록 2012-11-22 20:17수정 2012-11-23 08:44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가 21일 밤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대선후보 단일화를 위한 텔레비전 토론회에서 토론을 벌이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가 21일 밤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대선후보 단일화를 위한 텔레비전 토론회에서 토론을 벌이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너무 늦은 시간 중계탓”
방송사 질타 목소리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의 단일화 텔레비전 토론의 시청률이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 토론 때보다 12%포인트가량 낮아 ‘심야 토론’의 한계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시청률 조사 업체 티엔엠에스(TNmS)는 21일 밤 단일화 토론 시청률이 <한국방송>(KBS) 1텔레비전 8.1%, <문화방송>(MBC) 6.0%, <에스비에스>(SBS) 4.6%로 도합 18.7%를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주 같은 시간대 3사 시청률 합계보다 2.4%포인트 높다. 지역별로는 광주(22.4%), 전남(22.1%), 경북(21.0%), 수도권(19.7%)에서 많이 본 편이다.

이번 시청률은 10년 전 노-정 후보가 단일화 여론조사를 앞두고 벌인 토론(30.9%)보다 약 12%포인트 낮은 것이다. 방송계에서는 당시보다 단일화에 대한 관심이 덜할 수 있고, 인터넷 중계로 본 이들도 있고, 지상파 시청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했다는 등의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나 떨어진 것은 무엇보다 저녁 7시에 시작한 10년 전과 달리, 지상파 3사가 기존 편성과 광고를 이유로 밤 11시15분에 토론이 시작하도록 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청률 조사 업체 관계자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시간 문제가 제일 큰 것 같다. 프라임타임(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대)인 저녁 8시부터 밤 11시 사이에 진행했다면 시청률이 더 나왔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기획국장은 “시청자들의 관심도에 견줘 너무 늦은 시간에 중계가 이뤄졌다. 심야에 배치한 방송사들의 행태가 가장 큰 문제로, 드라마와 광고를 핑계로 대는 것은 공영방송의 책임과 국민의 알 권리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선희 음성원 기자 duc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등록전 단일화’ 약속, 겨우 3일 남았다
론스타, 한국정부 상대 수조원대 ISD 제기
“우리는 폰을 만들지 전쟁은 안한다” LG 옵티머스G, 1석2조 미국 광고
고장 전동차 구하려다 ‘쾅’ … 승객 100여명 부상
167명 목숨 잃고서야 멈춘 포성
큰스님도 카사노바도 즐기던 ‘통영의 맛’
[화보] 안후보님, 뭐라고요? 궁금한 표정 문재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1.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알고 보면 반할 걸”…민화와 K팝아트의 만남 2.

“알고 보면 반할 걸”…민화와 K팝아트의 만남

인상파 대가 오지호 명작 ‘사과밭’과 ‘남향집’의 엇갈린 뒤안길 3.

인상파 대가 오지호 명작 ‘사과밭’과 ‘남향집’의 엇갈린 뒤안길

2025년 ‘젊은작가상’ 대상에 백온유…수상자 7명 전원 여성 4.

2025년 ‘젊은작가상’ 대상에 백온유…수상자 7명 전원 여성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5.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