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이우영작가사건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고인의 동생 이우진 작가가 발언 도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우진 작가는 눈물을 글썽이며 목이 메인 듯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27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이우영작가사건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기자회견에서다.
그는 인기 만화 <검정 고무신>을 그린 고 이우영 작가의 동생이자 공동 저작권자인 만화 작가다. 이우영 작가는 캐릭터 업체 형설앤과 3년 넘게 저작권 분쟁을 벌여오다 지난 11일 숨을 거뒀다. 이우영 작가는 형설앤과 체결한 <검정 고무신> 사업권 설정 계약 때문에 심적 고통을 겪어온 것으로 전해졌다.
유가족인 이우진 작가는 이날 회견에서 “(형설앤과 계약을 맺은) 2007년은 인연이 아니라 악연이 되어서 형의 영혼까지 갉아먹고 오늘 이 자리까지 오게 됐다”며 울먹였다. 그는 “제가 받지 못한 마지막 부재중 전화에서 형은 무슨 얘길 하려 했을까요? 형이 마무리하지 못한 분쟁을 해결하고 후배와 제자들이 창작하는 데만 전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는 말이 아니었을까요?”라며 “형이 전하고자 했던 말에 관심을 갖고 귀를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27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이우영작가사건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신일숙 한국만화가협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만화가협회 등 만화계 단체들은 지난 20일 대책위를 꾸리고 행동에 나섰다. 대책위 위원장을 맡은 신일숙 한국만화가협회장은 이날 회견에서 “형설앤은 이우영 작가가 자식보다 소중하다고 한 캐릭터들로 인질극을 벌이고 있다”며 “납치당한 기영이와 그의 친구들을 유가족에게 돌려보내고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강욱천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한국민예총) 사무총장은 “형설앤은 지난 15년간 <검정 고무신> 캐릭터로 77개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우영 작가에게 1200만원을 지급했다. 1년에 80만원을 지급한 꼴”이라며 “누가 작가 권리를 빼앗고 있는지 우리는 꼭 확인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검정 고무신> TV 애니메이션 장면. 한국방송 영상 갈무리
정치권도 기자회견에 참여해 힘을 보탰다. 류호정 정의당 의원은 “고인은 떠났고 과제는 남았다”며 “이제라도 작가 처우 개선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기자회견이 끝난 직후부터 대책회의에 돌입하겠다”고 말했다. 유정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이 창작자의 권리 보호를 강화하고자 발의한 ‘문화산업 공정유통 및 상생협력에 관한 법률’은 현재 국회 계류 중이다. 김승수 의원은 회견에서 “고인이 맺은 계약서와 진술서를 살펴봤다. 고인은 저작권을 강탈당하고 수익 배분에서 소외되고 창작권까지 빼앗겼다. 불공정행위 종합세트를 보는 듯했다”고 안타까워했다. 유정주 의원은 “창작자의 정당한 권리 보장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하겠다”며 법안 처리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대책위는 끝으로 △형설앤과 장아무개 대표의 공식 사과와 퇴진 △<검정 고무신> 일체의 권한을 유가족에게 반환 △이우영·이우진 작가에 대한 2건의 민사소송 취하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엄중 조사 및 대책 마련 등 4가지 요구사항을 밝혔다.
대책위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국회의원회관에서 비공개 토론회를 열어 대책 마련을 논의했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