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생각] 백원근의 출판풍향계
통계청의 ‘2020 고령자 통계’를 보면 고령의 기준인 65살 이상 인구가 2020년에 15.7%이다. 이 비율은 2025년 20.3%, 2060년 43.9%로 급증할 전망이다. 4년 뒤에는 유엔(UN)이 정한 초고령사회(65살 이상 인구 비율 20% 이상)로 진입한다. 지역별로는 전남과 전북, 경북과 강원 등이 이미 초고령 지자체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저의 출산율과 맞물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나이 든 사회’로 바뀌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는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가로막는 근본 문제다. 특히 경제적 측면에서 우리나라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44.0%)은 프랑스(3.6%)나 노르웨이(4.3%) 같은 유럽 국가는 물론이고 양극화가 심하다는 미국(23.1%)에 비해서도 2배나 높다. 그러니 우리나라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는 국민 전체 평균(39.1%)보다 훨씬 낮은 25.0%에 불과하다. 평균 수명은 길어지건만 행복하게 노년을 보내는 사람은 적은 대한민국의 자화상이다.
책 생태계 관점에서 보아도 우리는 준비되지 않은 초고령사회를 맞고 있다.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 60살 이상 독서율은 2015년 36.9%에서 2019년 31.5%로 하락 추세다. 초등학생의 독서율이 가장 높고 나이가 들수록 책도 읽지 않는 비독자 증가 양상이 선명하다. 영국처럼 나이가 들수록 독서율이 높아지고 매일 읽는 사람도 많은 나라와는 정반대다. 고령자의 경제적·정신적 여유, 독서습관 유무가 그 차이를 만드는 요인이다. 그래서 ‘책이 눈에 들어오는 사회와 삶의 조건’을 만드는 구조적 문제 못지않게 독서환경 혁신이 중요하다.
이를테면, 고령자에게 맞춤한 내용의 책이나 다양한 큰글자책·오디오북의 공급, 고령자가 읽기 좋은 책과 고령자에게 선물하기 좋은 책을 추천하는 북큐레이션, 고령자가 이용하기 편리한 서점과 도서관의 시설·설비·자료, 고령자의 친교와 독서 생활화를 이끄는 독서 모임, 스스로 책을 읽기 어려운 환경의 고령자를 지원하는 독서복지 등 부족한 것들이 한둘이 아니다. 독서 선진국들에는 낭독 활동가 조직들이 책 읽기가 어려운 노인의 집이나 양로원·병원을 찾아가 책을 읽어주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도 우리와 다른 풍경이다.
지난 27일 “나이가 들다 독서가 늘다”를 표어로 내건 ‘2021 60+ 책의 해’ 출범식이 온라인으로 열렸다. 60대 이상 세대의 고령자 독서를 장려하고 독서환경을 만들기 위한 사업들이 작가·출판·서점·도서관·독서 단체들의 주도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후원으로 연중 개최된다. ‘전화로 책 읽어드립니다’, ‘치매 환자를 위한 책 선물’ 등 새롭게 시도하는 시범사업 성격의 프로그램들이 눈길을 끈다.
시간 차이를 두고 누구나 고령자가 된다. 올해를 기점으로 고령자의 눈길로 책 생태계를 살피며 독서 친화적인 사회로 한 걸음 나아가길 바란다. 책과 함께 행복한 백세 시대를 만드는 일, 모두를 위한 알짜 투자다.
책과사회연구소 대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