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얗고 파란 산토리니 마을의 전경. 김헌 제공
크레타를 한나절 머물고 떠나려니 도무지 발걸음이 떨어지질 않았다. 나중에 꼭 다시 오리라, 좀 더 길게 머물리라 다짐하면서 아쉬운 마음을 달래야 했다. 지금 이 코로나 상황이 되고 보니, 안타까움이 더 커진다. 간신히 크루즈에 올라 아테네로 향한다. 바다를 가르며 나아가는 배 위에서 한참을 뒤돌아보았다. 크레타가 시야에서 사라질 때쯤, 배의 이물 쪽으로 가서 맞바람을 맞으며 눈을 감았다. 따뜻한 햇볕에 눈꺼풀이 따뜻해졌고 붉게 달아올라, 감은 눈이 어둡지 않았다. 이제 아테네로 가는구나 생각하니 불현듯 두 사람이 떠올랐다. 첫 번째는 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였고, 두 번째는 ‘테스 형님’ 철학자 소크라테스였다. 두 인물이 각인된 장면은 우연찮게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원전 399년, 소크라테스는 두 가지 죄목으로 법정에 섰다. 첫째, 아테네가 전통적으로 섬기는 신을 무시한 불경죄, 그리고 듣도 보도 못한 새로운 신을 설파한다는 종교적 이단 시비에 걸렸다. 둘째, 그렇게 떠들고 다니면서 청년들을 타락시킨다는 풍기문란의 죄가 덧붙었다. 멜레토스가 그 고발의 주역이었다. 소크라테스는 두 번의 변론을 했지만, 판결의 책임을 진 청중을 설득하는 데 실패하고 말았다. 유무죄를 따지는 판에서는 아슬아슬했지만, 어쨌든 유죄를 받고 형량을 정하는 판에서 소크라테스는 엉뚱하게도 벌 대신 상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주장하는 바람에 청중의 노여움을 샀다. 압도적인 표 차이로 사형 선고가 떨어졌다. 그런데 그의 사형 집행은 곧바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상당 기간 미루어졌는데, 그것이 다 테세우스 덕택이었다.
멀고 먼 옛날, 크레타의 왕 미노스는 아테네에 조공을 강요했다. 미혼 여성 일곱, 미혼 남성 일곱을 바치라는 것이었다. 반인반우의 살인마 미노타우로스의 허기를 채우기 위해서였다. 아테네의 왕자 테세우스는 분노했다. 괴물을 때려잡겠다고 나섰다. 그를 태운 배는 도중에 델로스섬에 들렀다. 레토 여신이 제우스의 아이를 밴 채로 헤라에게 쫓기다가, 그녀의 눈길을 피해 아르테미스와 아폴론 쌍둥이 남매를 낳은 신성한 곳이다. 테세우스는 아폴론 신에게 제사를 올리며 기원하고 맹세했다. 만일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고 무사히 크레타를 나와 다시 아테네로 돌아가게 된다면, 매년 델로스로 사절을 보내 아폴론에게 감사의 제물을 드리겠다는 것이었다.
아폴론이 테세우스의 간절한 기도에 응답한 것일까? 테세우스는 크레타의 미궁에 들어가 보란 듯이 미노타우로스를 무찌르고 무사히 아테네로 돌아왔다. 테세우스는 맹약을 잊지 않고 그 이듬해부터 델로스로 사절을 보냈다. 그 전통이 소크라테스의 시대까지 계속되었다. 이 보은의 축제는 델로스로 가는 배의 고물에 아폴론 사제가 꽃을 장식하면서 시작되어, 출항한 배가 델로스에서 아폴론에게 제물을 바치고 다시 아테네로 돌아오면 끝난다. 이 기간에 아테네에서는 도시를 깨끗하게 하는 카타르시스, 즉 정화의 의례가 진행되었다. 특히 사형 집행은 철저히 금지되었다. 이 신성한 기간 피로써 도시를 더럽힐 수 없다는 뜻이었다.
마침 소크라테스에 대한 재판이 열리기 전날, 테세우스를 기념하는 배가 델로스로 떠났다. 그런 까닭에 소크라테스는 사형 선고를 받고도 배가 돌아올 때까지 사형 집행의 유예를 받은 것이다. 테세우스가 소크라테스에게 삶을 좀 더 누릴 수 있도록 해준 셈이다. 이 기간에 소크라테스는 감옥을 찾아온 제자들, 친구들과 함께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내가 탄 배가 델로스에서 출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테네로 가는 길 가까이에 델로스가 있으니, 그때 그 배를 탄 것 같아서 마음이 짠해졌다. 이 배가 아테네에 도착하는 순간, 소크라테스의 사형이 집행된다는 상상을 한 탓이다.
자크루이 다비드의 <소크라테스의 죽음>(1787). 김헌 제공
테세우스가 아테네로 돌아가면서, 자신의 맹세 때문에 생긴 축제로 인해 먼 훗날 아테네를 대표하는 철학자가 지인들과 마지막 회포를 풀 수 있는 며칠 동안의 시간을 갖게 될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못 했을 것이다. 뭔가를 한가롭게 생각할 수 없을 만큼 그는 매우 조급했다.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고 아테네의 젊은이들과 함께 크레타를 떠난 것은 문제가 아니었지만, 다른 동행이 있다는 것은 큰 문제였다.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 공주 말이다. 그녀는 테세우스가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고 미궁에서 다시 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한 가지 요구를 했다. 아테네로 자신을 데려가 달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녀와 함께 배를 탔으니, 이 사실이 알려지면 미노스가 추격할 것이 뻔했다. 그래서 안절부절못했다.
테세우스 일행은 낙소스섬에 들러 하루를 묵었다. 그 섬은 아테네와 크레타의 거의 중간에 있었고, 델로스섬에서는 5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이다. 아침에 깨어난 아리아드네는 깜짝 놀랐다. 테세우스가 자신을 버리고 떠난 것이다. 왜 그랬을까? 여러 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지만, 어쨌든 아리아드네로선 견디기 힘든 배신이었다. 미노스를 따돌리고 허겁지겁 크레타를 떠난 뒤, 아리아드네를 버리고 정신없이 도망치느라 테세우스는 그만 아버지와 했던 중요한 약속을 깜빡 잊고 말았다. 아테네를 떠날 때는 검은 돛을 올렸지만, 괴물을 처치하고 돌아올 때는 반드시 하얀 돛으로 바꾸라고 했는데, 그걸 까먹은 것이다.
멀리서 테세우스의 배를 보던 테세우스의 아버지 아이게우스는 검은 돛을 보고는 아들이 죽었다며 절망했다. 슬픔을 주체하지 못한 그는 바다에 몸을 던졌다. 그 이후로 이 바다를 ‘아이게우스의 바다’ 즉 ‘에게해’(Aegean Sea)라 부른다. 발칸반도 남부의 그리스 본토와 터키 아나톨리아반도, 그리고 크레타섬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에 400개가 넘는 섬들이 알알이 박힌 바다다. 나는 이 바다를 가로질러 아테네로 향하면서 테세우스가 된 상상을 했다. 아버지와 친구들, 시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머릿속에 그리며 벅찬 가슴에 심장이 쿵쾅거렸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아버지의 죽음에 직면할 운명이었다.
나의 여정엔 테세우스가 들렀던 낙소스나 델로스 대신 산토리니가 예정되어 있었다. 초승달 모양의 산토리니는 원래 둥근 섬이었다. 크레타에서 활짝 꽃피어난 미노아 문명이 북쪽 그리스 본토를 향해 뻗어 나가는 중요한 거점이었다. 그러나 기원전 1500년경에 화산 폭발이 일어나 섬이 반 토막 나버렸다. 풍요롭고 우아한 문명의 자태를 안고 가라앉은 섬은 잃어버린 아틀란티스의 전설이 되었다. 그때 생긴 쓰나미는 크레타섬을 강타했고, 미노스 왕과 미노타우로스의 전설이 서린 크노소스 궁전이 흙더미에 묻혔다. 이 한 방의 자연재해가 하나의 문명을 통째로 침몰시켰다고 말하면 너무 극적인 것일까?
그 이후로 에게해의 주도권은 크레타섬에서 그리스 본토, 펠로폰네소스반도의 미케네 쪽으로 옮겨갔다. 미노아 문명의 뒤를 이어 미케네 문명이 등장한 것이다. 그리고 크레타에 조공을 바쳐야만 했던 아테네는 신화 속의 테세우스가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쳤듯이, 서서히 그 힘을 쌓아가며 에게해의 패권국가로 성장해갔다.
아름다운 섬 산토리니는 그렇게 문명사적 상처를 안고 있다. 해안선을 따라 화산 폭발로 절단 난 섬의 단면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그 위로 눈이 쌓인 듯이 하얀 건물들이 길게 늘어서 있다. 반을 숭덩 잘라낸 생일케이크 같다. “죽기 전에 에게해를 여행할 사람은 복이 있도다”라는 말은 바로 이곳을 두고 한 것 같다. 눈부시게 빛나는 하얀 건물들에 눈과 마음을 시원하게 하는 파란색 지붕이 하늘과 바다, 작열하는 태양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다. 날이 저물어가면서, 세계 전역에서 온 다양한 모습의 사람들이 형형색색 옷차림으로 서쪽으로 향한 언덕 경사면에 모여드는 광경도 장관이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일몰의 광경을 꼽으라면 이곳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다. 수평선으로 서서히 저무는 해를 보는 동안, 바다에 몸을 던진 아이게우스가 떠올랐다. 마침 하얀 돛을 단 배가 지나가고 있었다.
김헌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