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14일 발표한 가덕도신공항 배치도. 육지와 해상에 활주로가 걸치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 제공
정부가 개항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가덕도신공항 공법을 변경한 데 대해 부산 정가와 시민사회에선 다양한 의견이 나온다.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을 기대하는 이들은 이번 정부의 결정에 환영하고 있으나, 실현 가능성을 놓고선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동남권관문공항추진 부울경범시민운동본부·신공항추진범시민운동본부 등 6개 단체는 15일 입장문을 내어 “어제 국토교통부 결정에 800만 부산울산경남 시·도민들과 더불어 크게 환영한다”고 전제한 뒤, “사전타당성조사보다 무려 공기를 5년 단축하는 방안인 이번 국토부의 발표를 액면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고 밝혔다. 전날 국토부는 가덕도신공항 용역 중간 보고회를 열어 가덕도신공항 공법을 바꿔 완공 시기를 2035년에서 2029년으로 앞당긴다고 밝힌 바 있다. ‘2029년 완공’을 위해선 책임있는 정부의 후속 조처가 뒤따라야 한다는 게 이들의 생각이다.
이들은 “정부는 세계박람회 유치 여부와 무관하게 준공 시기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부산시는 더욱 적극적이며 세심하게 향후 과정을 이끌 것을 당부한다. 보상과정에서 불필요한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사전에 주민들과 소통하고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 지역 정가에서도 환영 분위기가 크지만 온도 차는 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전날 보도자료를 내어 “330만명의 부산 시민을 대표해 적극적으로 환영한다”며 “국민의힘 부산 국회의원 전원은 범부처 및 지자체와 협력하여 현 정부의 국정과제인 2030년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두관·김정호·민홍철·박재호·이상헌·전재수·최인호 등 부산울산경남 민주당 국회의원들도 같은 날 입장문을 내어 정부 방안에 공감한다는 뜻을 내비치면서도 “결국 2년 동안 돌고 돌아 제자리를 찾은 것은 부산시가 부유식 공법으로 혼선을 빚은 것과 국토부의 의지 부족 탓”이라고 짚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